카테고리 없음
sk-cj-오바마
그린페
2010. 12. 7. 21:28
한국컨소시엄, 브라질서 철도 4조 수주
|
고속철 수주에 청신호
|
한국컨소시엄이 4조원 규모 브라질의 철도 현대화 사업을 수주했다. 이에 따라 내년 23조원 규모 브라질 고속철도 사업 입찰에서도 유리한 고지를 선점할 것으로 평가된다. 6일 한국철도기술연구원(철도연)에 따르면 철도연 철도공사 철도시설관리공단 등으로 구성된 `브라질 타우바테시 철도사업단`은 지난 9월 말 타우바테시와 철도망 구축 사업과 관련해 양해각서(MOU)를 맺은 데 이어 오는 14일께 합의각서(MOAㆍMemorandum of Agreement)를 체결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사업단은 13일부터 상파울루 주정부와 타우바테시 등을 방문한다. 사업단에 따르면 이번 사업은 공개 입찰 방식으로 진행되는 브라질 고속철 사업과는 달리 수의계약 형태로 이뤄진다. 브라질 2대 건설업체인 A사가 토목공사를 맡고 현대로템이 고속전동차를 공급하며, 철도연이 시장 조사와 컨소시엄 구성 등 전반적인 사업을 주관한다. 기존 노후 열차를 교체하고 한국의 최신식 철도 시스템을 적용하는 것으로 2013년께 완공될 예정이다. 최성규 철도연 원장은 "전체 사업 규모 4조원 중 한국 컨소시엄은 1조원 이상을 맡을 것"이라며 "이번 철도 노선이 내년 이후 건설될 브라질 고속철과 연결되므로 한국의 추가 수주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사업의 노선은 타우바테시와 동서에 인접한 상조제두스캄푸스, 아프레시다를 연결하고 남북에 인접한 우바투바, 캄푸스두조르당 등 주요 도시를 연결하는 210㎞ 구간으로 최고 시속 180㎞의 고속전동차가 운행될 예정이다. [문일호 기자] |
SKT, 해외시장 첫 서비스플랫폼 진출(종합)
연합뉴스 | 입력 2010.12.07 12:00
`멜론 인도네시아' 서비스
(서울=연합뉴스) 이광빈 기자 = SK텔레콤이 글로벌 서비스 플랫폼 육성 전략의 첫 결실로 인도네시아에서 유무선 음악 포털사이트를 구축했다.
SK텔레콤은 인도네시아 최대 통신사업자인 텔콤과 설립한 조인트벤처 'PT 멜론 인도네시아'가 인도네시아에서 유무선 음악 서비스를 시작했다고 7일 밝혔다.
'멜론 인도네시아'가 브랜드인 이번 서비스는 인도네시아 음악은 물론 팝과 한국, 중국, 일본 음악 등이 망라돼 있다.
SK텔레콤 측은 경쟁력있는 콘텐츠 유통 플랫폼인 멜론을 현지 사업자와 협력해 사업화함으로써 글로벌 서비스 플랫폼으로 발전시킨다는 새로운 전략이 구체적인 결과물을 내놓았다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고 설명했다.
PT 멜론 인도네시아는 디지털 콘텐츠 유통 허브(DCEH) 구축에도 나서 동영상과 영화, 게임, 음악 등 다양한 디지털 콘텐츠의 유통을 추진 중이다.
SK텔레콤 지동섭 IPE사업단장은 "SK텔레콤은 이번 서비스 시작으로 동남아시아 시장 전역에 걸친 콘텐츠 유통 사업 진출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라며 "동남아를 비롯한 미주, 유럽 등 해외 사업자에 대한 다양한 IPE 사업 협력을 강화해 서비스 플랫폼 사업자로서 SK텔레콤의 위상을 높여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PT 멜론 인도네시아는 SK텔레콤이 총 자본금 125억원 중 49%를 투자한 조인트벤처로, SK텔레콤은 DCEH 비즈니스와 관련한 플랫폼 구축과 서비스 운영, 콘텐츠 소싱 등의 역할을 맡고 있다.
lkbin@yna.co.kr
[동아일보]
정부가 10일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열리는 노벨평화상 시상식에 참석할 뜻을 노벨위원회에 통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외교소식통은 6일 "그동안 노벨상 시상식에 주 노르웨이 대사가 참석해왔던 통상적인 관례에 따라 이병현 주 노르웨이 대사가 정부 대표로 시상식에 참석하는 것으로 최근 노벨위원회에 통보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김영선 외교통상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우리로서는 노벨위원회의 결정을 존중한다는 것이 기본입장"이라며 "이번 시상식과 관련해 한국 정부는 그동안의 관례에 따라 할 것"이라고 말해 노벨평화상 시상식 참석 사실을 간접적으로 시인했다.
정부는 중국의 반체제 인사인 류샤오보(劉曉波)가 상을 받게 될 노벨평화상 시상식에 참석을 자제해달라는 중국 정부의 요청에 따라 그동안 시상식 참석 여부를 고심해왔다.
인터넷뉴스팀
(서울=연합뉴스) 이광빈 기자 = SK텔레콤이 글로벌 서비스 플랫폼 육성 전략의 첫 결실로 인도네시아에서 유무선 음악 포털사이트를 구축했다.
SK텔레콤은 인도네시아 최대 통신사업자인 텔콤과 설립한 조인트벤처 'PT 멜론 인도네시아'가 인도네시아에서 유무선 음악 서비스를 시작했다고 7일 밝혔다.
'멜론 인도네시아'가 브랜드인 이번 서비스는 인도네시아 음악은 물론 팝과 한국, 중국, 일본 음악 등이 망라돼 있다.
PT 멜론 인도네시아는 디지털 콘텐츠 유통 허브(DCEH) 구축에도 나서 동영상과 영화, 게임, 음악 등 다양한 디지털 콘텐츠의 유통을 추진 중이다.
SK텔레콤 지동섭 IPE사업단장은 "SK텔레콤은 이번 서비스 시작으로 동남아시아 시장 전역에 걸친 콘텐츠 유통 사업 진출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라며 "동남아를 비롯한 미주, 유럽 등 해외 사업자에 대한 다양한 IPE 사업 협력을 강화해 서비스 플랫폼 사업자로서 SK텔레콤의 위상을 높여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PT 멜론 인도네시아는 SK텔레콤이 총 자본금 125억원 중 49%를 투자한 조인트벤처로, SK텔레콤은 DCEH 비즈니스와 관련한 플랫폼 구축과 서비스 운영, 콘텐츠 소싱 등의 역할을 맡고 있다.
lkbin@yna.co.kr
CJ GLS, 대표공석 장기화 왜?약 5시간전
[EBN산업뉴스 정은지 기자 ]CJ그룹의 물류계열사인 CJ GLS의 대표 공석...김홍창 CJ GLS 대표를 CJ그룹 주력 계열사인 CJ제일제당에 전격 배치했다. 이는 김홍창...CJ GLS, 한국물류대상 대통령...CJ그룹, 온미디어 4개 ´SO´ 매각키로약 4시간전
[EBN산업뉴스 최밍키 기자 ]CJ그룹이 온미디어의 지분 15%를 포함해 4개 SO, 디지틀온미디어를 매각한다. CJ...미디어, 온미디어, CJ인터넷, 엠넷미디어, 오미디어홀딩스 등 통합 6개 계열사(가칭 ...CJ그룹, 온미디어 지분 15% 매각약 5시간전
【서울=뉴시스】박상권 기자 = CJ그룹이 온미디어가 보유하고 있는 4개 SO와 온미디어 지분 15%를 매각한다.CJ...‘CJ 가쓰오우동’ CF모델에 주진모 발탁약 4시간전
[뉴스핌=이동훈기자 ] CJ제일제당(대표 김홍창)은 일본식 정통우동 브랜드 ‘CJ 가쓰오우동’의 새로운...이후 7년 만에 선보이는 새로운 광고 모델로 주진모를 발탁한 것.주진모는 CJ...CJ E&M "2015년 매출 3조 달성"약 3시간전
[뉴스토마토 이형진기자 ] CJ그룹의 6개사 통합법인인 CJ E&M(가칭...기업이 되겠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에서 CJ엔터테인먼트와 CJ미디어, 온미디어(045710...매각하는 방안도 검토한다. 통...
...양보 얻어 중간층 끌어안기 전략 중간선거에서 참패한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진보적 선거공약에서 한발 후퇴했다. 오바마...특히 미국민 2%에 달하는 최고부유층에 대한 감세 종식은...
오바마, 세금감면 연장 절충안 제안[TV ]약 6시간전
[이데일리TV 신욱 기자 ]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그동안 완고한 부자 감세 연장안에 대해 공화당의 의견을...포함한 감세정책을 2년 동안 연장하는데 공화당과 합의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오바마 ...오바마 아프간 깜짝 방문약 9시간전
대통령 취임 후 두번째 카르자이와 화상 회담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3일 아프가니스탄을 전격 방문했다. 오바마...원을 타고 이날 새벽 현지에 도착했다. 백악관 측은 오바마 대통령이...
노벨 평화상( - 平和賞, 스웨덴어: Nobels fredspris, 노르웨이어: Nobels fredspris, 영어: Nobel Peace Prize)은 노벨의 유언으로 만들어진 5가지 부문 중의 하나인 노벨상이다. 국가간의 우호, 군비의 감축, 평화교섭 등에 큰 공헌이 있는 인물이나 단체에게 주어진다. 수상식은 다른 부문과 달리 노르웨이 오슬로에 있는 국회에서 열린다.
목차[숨기기] |
역대 수상자 [편집]
다음은 1901년부터 현재까지의 노벨 평화상 역대 수상자 목록이다.
1900년대 [편집]
수상 년도 | 수상자 혹은 수상단체 | 국가 | 선정 이유 |
---|---|---|---|
1901년 | 앙리 뒤낭 | ![]() |
적십자의 설립자이며 제네바 협약의 제안자. |
프레데리크 파시 | ![]() |
국제평화연맹의 설립자이며 총재. | |
1902년 | 엘리 뒤코묑 | ![]() |
베른의 국제영구평화국 명예 서기. |
샤를 알베르 고바 | ![]() | ||
1903년 | 윌리엄 랜들 크리머 | ![]() |
국제중재연맹 서기. |
1904년 | 국제법 연구소 | ![]() |
|
1905년 | 베르타 폰 주트너 | ![]() |
국제영구평화국 명예 서기이며 작가. |
1906년 | 시어도어 루스벨트 | ![]() |
미국의 대통령으로서 러일 전쟁에서 평화 조약을 이끌어냈다. |
1907년 | 에르네스토 테오도르 모네타 | ![]() |
롬바드 평화연맹의 의장. |
루이 르노 | ![]() |
국제법 교수. | |
1908년 | 클라스 폰투스 아르놀손 | ![]() |
스웨덴 평화중재연맹의 설립자. |
프레드리크 바예르 | ![]() |
국제영구평화국의 명예 의장. | |
1909년 | 오귀스트 마리 프랑수아 베르나르트 | ![]() |
국제중재재판소의 일원. |
폴앙리뱅자맹 데스투르넬 드 콩스탕 | ![]() |
1910년대 [편집]
수상 년도 | 수상자 혹은 수상단체 | 국가 | 선정 이유 | |
---|---|---|---|---|
1910년 | 국제 평화 기구 | ![]() |
||
1911년 | 토비아스 아세르 | ![]() |
1899년에 열린 제1차 만국평화회의에서 상설중재재판소의 결성에 기여한 공로로 선정되어 1913년에는 사망 전까지 헤이그 국제법 아카데미의 설립을 도왔다. | |
알프레트 헤르만 프리트 | ![]() |
|||
1912년 | 엘리후 루트 | ![]() |
||
1913년 | 앙리 라퐁텐 | ![]() |
국제평화기구의 대표. | |
1914년 | 수상자 없음(제1차 세계 대전으로 인한 중단) | |||
1915년 | ||||
1916년 | ||||
1917년 | 국제 적십자 위원회 | ![]() |
||
1918년 | 수상자 없음 | |||
1919년 | 우드로 윌슨 | ![]() |
미국의 제28대 대통령으로 국제 연맹을 창설하는데 기여. |
1920년대 [편집]
수상 년도 | 수상자 혹은 수상단체 | 국가 | 선정 이유 | |
---|---|---|---|---|
1920년 | 레옹 빅토르 오귀스트 부르주아 | ![]() |
국제 연맹 대표. | |
1921년 | 알마르 브란팅 | ![]() |
스웨덴의 총리이며, 국제 연맹 평의회의 스웨덴 대표. | |
크리스티안 루이스 랑에 | ![]() |
|||
1922년 | 프리드쇼프 난센 | ![]() |
노르웨이의 국제 연맹 대표로 난민들을 위한 난센 여권을 발행하였다. | |
1923년 | 수상자 없음 | |||
1924년 | ||||
1925년 | 오스틴 체임벌린 경 | ![]() |
로카르노 조약의 주역. | |
찰스 도스 | ![]() |
|||
1926년 | 아리스티드 브리앙 | ![]() |
로카르노 조약의 주역. | |
구스타프 슈트레제만 | ![]() |
로카르노 조약의 주역. | ||
1927년 | 페르디낭 뷔송 | ![]() |
||
루트비히 크비데 | ![]() |
|||
1928년 | 수상자 없음 | |||
1929년 | 프랭크 빌링스 켈로그 | ![]() |
1930년대 [편집]
수상 년도 | 수상자 혹은 수상단체 | 국가 | 선정 이유 | |
---|---|---|---|---|
1930년 | 나탄 셰데르블롬 | ![]() |
||
1931년 | 제인 애덤스 | ![]() |
||
니컬러스 머리 버틀러 | ![]() |
|||
1932년 | 수상자 없음 | |||
1933년 | 노먼 에인절 | ![]() |
||
1934년 | 아서 헨더슨 | ![]() |
||
1935년 | 카를 폰 오시에츠키 | ![]() |
||
1936년 | 카를로스 사베드라 라마스 | ![]() |
||
1937년 | 애드거 앨저넌 로버트 세실 | ![]() |
||
1938년 | 난센 국제 피난민 사무소 | ![]() |
||
1939년 | 수상자 없음(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한 중단) |
1940년대 [편집]
수상 년도 | 수상자 혹은 수상단체 | 국가 | 선정 이유 | |
---|---|---|---|---|
1940년 | 수상자 없음(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한 중단) | |||
1941년 | ||||
1942년 | ||||
1943년 | ||||
1944년 | 국제 적십자 위원회 | ![]() |
(1945년에 소급하여 수상함) | |
1945년 | 코델 헐 | ![]() |
국제 연합 창설 기여. | |
1946년 | 에밀리 그린 볼치 | ![]() |
||
존 롤리 모트 | ![]() |
YMCA 회장 | ||
1947년 | 영국 퀘이커 봉사 협회 | ![]() |
||
미국 퀘이커 봉사 위원회 | ![]() | |||
1948년 | 수상자 없음[1] | |||
1949년 | 존 보이드 오어 | ![]() |
1950년대 [편집]
수상 년도 | 수상자 혹은 수상단체 | 국가 | 선정 이유 | |
---|---|---|---|---|
1950년 | 랠프 번치 | ![]() |
팔레스타인의 평화 노력. | |
1951년 | 레옹 주노 | ![]() |
||
1952년 | 알베르트 슈바이처 | ![]() |
||
1953년 | 조지 마셜 | ![]() |
미국의 국무장관, 유럽 부흥 계획 주창. | |
1954년 | UN 난민고등판무관실 | ![]() |
||
1955년 | 수상자 없음 | |||
1956년 | ||||
1957년 | 레스터 볼스 피어슨 | ![]() |
유엔 고등판무관, 수에즈 위기 해결. | |
1958년 | 조르주 피르 | ![]() |
||
1959년 | 필립 노엘베이커 | ![]() |
1960년대 [편집]
수상년도 | 수상자 혹은 수상단체 | 국가 | 선정 이유 | |
---|---|---|---|---|
1960년 | 앨버트 루툴리 | ![]() |
아프리카 민족회의 의장 | |
1961년 | 다그 함마르셸드 | ![]() |
국제 연합 사무총장. 그러나 수상 발표 이후 사망하여 유일한 사후 수여자로 기록되었다. | |
1962년 | 라이너스 칼 폴링 | ![]() |
핵무기 실험을 반대하는 운동 전개(노벨 화학상 수상자) | |
1963년 | 국제 적십자 위원회 | ![]() |
||
1964년 | 마틴 루서 킹 주니어 | ![]() |
시민권 운동 주도. | |
1965년 | 유니세프 | |||
1966년 | 수상자 없음 | |||
1967년 | ||||
1968년 | 르네 카생 | ![]() |
인권선언의 기초 | |
1969년 | 국제 노동 기구 | ![]() |
1970년대 [편집]
수상 년도 | 수상자 혹은 수상단체 | 국가 | 선정 이유 | |
---|---|---|---|---|
1970년 | 노먼 볼로그 | ![]() |
녹색 혁명의 기초를 만들고 식량증산을 늘린 공로 | |
1971년 | 빌리 브란트 | ![]() |
서독 총리. 독일민주공화국과 동유럽에 대한 새로운 태도를 취하는 서독의 정책인 "동방 정책(독일어: Ostpolitik)"을 전개. | |
1972년 | 수상자 없음 | |||
1973년 | 헨리 키신저 | ![]() |
베트남 평화 회담 | |
레득토 (수상 거부) | ![]() | |||
1974년 | 숀 맥브라이드 | ![]() |
인권 신장을 위한 노력 | |
사토 에이사쿠 | ![]() |
일본의 총리로, "비핵 3원칙"을 주장한 공로로 선정. | ||
1975년 | 안드레이 사하로프 | ![]() |
인권 향상을 위한 운동 전개. | |
1976년 | 베티 윌리엄스 | ![]() |
북아일랜드 평화 운동을 설립한 공로로 선정. | |
메어리드 코리건 | ![]() | |||
1977년 | 국제 사면 위원회 | ![]() |
고문 금지 운동을 전개하였음. | |
1978년 | 무하마드 안와르 사다트 | ![]() |
이집트와 이스라엘의 평화 정착을 위해 노력. | |
메나헴 베긴 | ![]() | |||
1979년 | 테레사 수녀 | ![]() |
인도의 가난한 사람들에 대한 사회 봉사 |
1980년대 [편집]
수상 년도 | 수상자 혹은 수상단체 | 국가 | 선정 이유 |
---|---|---|---|
1980년 | 아돌포 페레스 에스키벨 | ![]() |
인권 향상을 위해 노력 |
1981년 | UN 난민고등판무관실 | ||
1982년 | 알바 뮈르달 | ![]() |
|
알폰소 가르시아 로블레스 | ![]() | ||
1983년 | 레흐 바웬사 | ![]() |
솔리다르노시치의 설립자이자, 인권향상을 위한 운동가. 폴란드에서 공산정권 붕괴이후 첫 대통령을 역임. |
1984년 | 데즈먼드 투투 | ![]() |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아파르트헤이트에 대한 항거. |
1985년 | 핵전쟁방지국제의사회 | ![]() |
|
1986년 | 엘리 위젤 | ![]() |
홀로코스트 생존자이자 작가 |
1987년 | 오스카르 아리아스 | ![]() |
중앙 아메리카에서의 평화 중재 노력. |
1988년 | 국제 연합 평화유지군 | 1956년 이래 수많은 국제적 분쟁 해결을 위해 노력하였고, 수상 이후 현재 736명이 평화 유지 활동 중에 목숨을 잃음. | |
1989년 | 달라이 라마 | ![]() |
1990년대 [편집]
수상 년도 | 수상자 혹은 수상단체 | 국가 | 선정 이유 |
---|---|---|---|
1990년 | 미하일 고르바초프 | ![]() |
소비에트 연방의 대통령, 오늘날 국제 사회의 평화 진착을 주도. |
1991년 | 아웅 산 수 치 | ![]() |
인권과 민주주의를 위한 비폭력 투쟁 |
1992년 | 리고베르타 멘추 | ![]() |
과테말라 토착민들의 인권과 권리향상을 위하여 노력. |
1993년 | 넬슨 만델라 | ![]() |
만델라와 클레르크는 각각 남아프리카공화국의 대통령을 지내면서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인종 차별을 종식시키고 민주화 정착을 위해 노력 |
프레데리크 빌렘 데 클레르크 | ![]() | ||
1994년 | 야세르 아라파트 | ![]() |
중동 평화를 위해 노력 |
시몬 페레스 | ![]() | ||
이츠하크 라빈 | ![]() | ||
1995년 | 조지프 로트블랫 | ![]() |
국제 사회에서 핵무기 사용을 줄이고, 장기적으로는 핵 폐기를 위해 노력 |
퍼그워시 회의 | ![]() | ||
1996년 | 카를로스 펠리페 시메네스 벨로 | ![]() |
동티모르 분쟁을 공평하고 평화적인 방법으로 해결하기 위해 노력 |
주제 라모스 오르타 | ![]() | ||
1997년 | 국제 지뢰 금지 캠페인 | ![]() |
대인 지뢰 금지 및 제거를 위해 노력 |
조디 윌리엄스 | ![]() | ||
1998년 | 존 흄 | ![]() |
북아일랜드 분쟁에 대한 평화적 해결책을 모색하기 위해 노력 |
데이비드 트림블 | ![]() | ||
1999년 | 국경없는 의사회 | ![]() |
여러 대륙에 걸친 선구자적인 인도주의적 업적 |
2000년대 [편집]
수상 년도 | 수상자 혹은 수상단체 | 국가 | 선정 이유 |
---|---|---|---|
2000년 | 김대중 | ![]() |
동아시아와 대한민국에서 민주주의와 인권향상에 기여한 업적과 최초의 남북 정상 회담을 개최하는 등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평화와 화해를 위한 노력 |
2001년 | 국제 연합 | 좀 더 조직적이고 평화로운 세상을 위해 노력 | |
코피 아난 | ![]() | ||
2002년 | 지미 카터 | ![]() |
지난 수십 년 동안 민주주의와 인권 향상, 사회적 발전의 신장을 위해 국제 분쟁을 해결하기 위한 끊임없는 노력 |
2003년 | 시린 에바디 | ![]() |
민주주의와 인권을 위해 노력했고, 특히 여성과 아동의 권리신장에 많은 노력을 기울임 |
2004년 | 왕가리 마타이 | ![]() |
지속 가능한 개발과 민주주의 및 평화에 공헌함 |
2005년 | 국제 원자력 기구 | ![]() |
원자력 에너지가 군사적 목적으로 이용되는 것을 방지하고, 원자력 에너지의 평화적 이용이 가장 안전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 |
모하메드 엘바라데이 | ![]() | ||
2006년 | 그라민 은행 | ![]() |
선구적인 소액대출(마이크로크레딧)을 통해 극빈층과 특히 여성의 경제적, 사회적 기회를 확대함 |
무함마드 유누스 | ![]() | ||
2007년 | 앨 고어 | ![]() |
인간이 야기한 기후 변화의 위대한 지식을 개발하고 이를 널리 알림으로써 기후변화 문제의 해결을 위한 조치들을 마련할 수 있도록 초석을 다지는데 노력 |
기후 변화에 관한 정부간 패널(IPCC) | ![]() | ||
2008년 | 마르티 아티사리 | ![]() |
인도네시아와 아체 반군의 분쟁 해결 노력 |
2009년 | 버락 오바마 | ![]() |
국제 외교와 인류의 협력 강화를 위해 노력 |
2010년 | 류샤오보 | ![]() |
중국의 인권신장을 위해 오랫동안 투쟁 |
“정부, 노벨평화상 시상식 참석 통보”
[동아일보]
정부가 10일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열리는 노벨평화상 시상식에 참석할 뜻을 노벨위원회에 통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외교소식통은 6일 "그동안 노벨상 시상식에 주 노르웨이 대사가 참석해왔던 통상적인 관례에 따라 이병현 주 노르웨이 대사가 정부 대표로 시상식에 참석하는 것으로 최근 노벨위원회에 통보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김영선 외교통상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우리로서는 노벨위원회의 결정을 존중한다는 것이 기본입장"이라며 "이번 시상식과 관련해 한국 정부는 그동안의 관례에 따라 할 것"이라고 말해 노벨평화상 시상식 참석 사실을 간접적으로 시인했다.
정부는 중국의 반체제 인사인 류샤오보(劉曉波)가 상을 받게 될 노벨평화상 시상식에 참석을 자제해달라는 중국 정부의 요청에 따라 그동안 시상식 참석 여부를 고심해왔다.
인터넷뉴스팀
중국의 대표적인 반체제 인사 류샤오보(劉曉波ㆍ55)가 노벨평화상 수상자로 선정되면서 중국과 서방의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 올해 노벨평화상을 받은 류샤오보는 1989년 6ㆍ4 톈안먼 민주화 운동의 주동인물이다. ...
media.paran.com/hotissue/ ..... - 저장된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