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오바마-일자리창출240조

그린페 2009. 12. 9. 12:31
오바마, 일자리 창출 위해 초당적 회담 마련
[뉴시스] 2009년 12월 09일(수) 오전 11:14   가| 이메일| 프린트
【워싱턴=로이터/뉴시스】이진례 기자 =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정부의 일자리 창출 계획을 진행시키고자 9일(현지시각)민주당 및 공화당 의원들과 회담을 갖는다.오바마 대통령은 8일 일자리 창출을 강화하기 위해 소규모 기업에 세금을 감면해주고, 부실자산구제프로그램(TARP)에서 남은 돈으로 재정적자를 줄여 10%대의 실업률을 타개하는데 사용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날 젠 프사키 백악관 대변인은 "현재 미국 경제상황에 대한 오바마 대통령의 발언에 대한 후속조치로서, 오바마 대통령은 대통령이 9일 국회의원들과 초당적인 회담을 갖고 경제 성장 및 일자리 창출을 위한 다음 조치를 논의할 예정이다"고 말했다.
이번 회담은 현지시각으로 9일 오전 11시(우리시각으로 10일 오전 1시)로 예정됐다.
백악관은 민주당 및 공화당의 상,하원 의원을 포함해 총 18명의 의원이 참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오바마 대통령은 회담 직후인 오전 11시50분께 회담 내용을 담은 성명문을 언론에 발표할 예정이다.
한편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오는 14일 미국 은행관계자들을 만나 소규모 기업에 대한 대출 방법과 금융규제 개혁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eeka232@newsis.com
 
 
오바마, 각종 일자리 늘리기 방안 제시
[라디오코리아] 2009년 12월 08일(화) 오전 09:38   가| 이메일| 프린트
중소기업 감세, 공공사업 추가, 고효율 주택개선에 리베이트
구제금융자금중 미사용분 2000억달러 고용창출에 투입
버락 오바마 미대통령이 미국민들의 최대 우려사항으로 떠오른 실업사태를 해소하기 위해 일자리 늘리기
에 본격 나섰다.
오바마 대통령은 신규고용하는 중소기업에 새로운 세제혜택을 제공하고 에너지 절약형 주택환경 개선시
에는 비용의 절반을 지원하며 공공사업을 더 확충하겠다는 일자리 늘리기 방안을 제시했다
미국경제 회복에 발목을 잡고 있는 실업률 10%대의 실업사태에 대처하기 위해 버락 오바마 미 대통령은 8일 일련의 일자리 늘리기 방안들을 공식 발표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특히 월스트리트(금융시장) 보다는 이제 메인 스트리트(일반경제) 살리기에 나서겠다고 선언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이를 위해 연방의회가 결정할 사안이어서 공표하지는 않았으나 7000억 달러에 달하는 구제금융기금 가운데 미사용분과 회수분의 일부인 2000억 달러 정도를 일자리 창출 방안에 투입하겠다
는 방침을 세운 것으로 미 언론들은 전했다
오바마 대통령이 이날 진보적 싱크탱크인 부르킹스연구소 초청 연설에서 제시한 일자리 늘리기 방안에는
중소기업에 대한 새로운 감세조치가 포함돼 있다.
오바마 방안에 따르면 중소기업들이 2010년에 새로 직원을 고용할 경우 세금감면 혜택을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중소기업주식에 투자할 경우 내년 1년동안은 투자에서 나오는 자본이득에 대한 세금을 100% 면제
해주겠다고 제안했다
이를 통해 미국내 일자리의 3분의 2나 담당하고 있는 중소기업들의 비지니스를 살리고 신규고용을 창출
하겠다는 복안이다
오바마 방안에서는 이와함께 도로와 교량, 공항, 상수도 건설 등에 500억달러 이상을 투자해 공공 사업
부문에 일자리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제시했다.
오바마 방안에선 얼마전 인기를 끌었던 중고 자동차 현금보상 프로그램에서 아이디어를 따온 에너지효율
이 높은 설비로 주택환경을 개선하는 주택소유자들에게 리베이트를 제공하는 방안도 제시해 눈길을 끌고
있다.
Cash for Caulkers(누수방지자에 대한 현금보상) 프로그램으로 불리는 이 방안은 각 가정이 에너지 효율
성이 높은 가전제품을 구입하거나 냉.난방시설을 고효율 설비로 교체할 경우 리베이트를 제공하겠다는 것이다
오바마 대통령은 이날 구체적인 리베이트방식까지 밝히지 않았으나 가구당 주택개선비용의 절반, 최대 1만 2000 달러까지 리베이트 해주는 방안이 마련되고 있는 것으로 CNN 방송은 전했다
오바마 대통령의 이같은 방안은 현재 미 의회에서 추진되고 있는 민주당의 고용창출 지원법안에 반영돼 내년초까지 확정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한 면택(기자) webmaster@radiokore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