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바로북-리비아소설

그린페 2009. 5. 4. 23:39
바로북 [현재창]
국내외 도서 전자책 출간, ebook 전자도서관 구축. ... 서울시 구로구 구로동 187-10 코오롱 싸이언스밸리 1차 207호 ()바로북 ㅣ 전화 02-***-**** 팩스 02-***-**** ...
www.barobook.com (93k) | 책, 도서 > 전자도서 이 사이트에서 더보기 | 저장된 페이지

 

단편소설  한마디

  제목:뷰티마인드-나 현주

사막을 질주하는 사나이들의 세계에 적극 진출하는 여인들의 행렬속에 끼어든 주현은 민화고체산소음이온시계를 들고 트리폴리항에 내렸다.

오늘은 kgb와 가다피대통령의 회식이 대우가 건설하는 호텔준공식에서 있다고 해서 무언가 한가닥 희망을 안고 호텔에 들어선다.

눈이 휘둥그레지는일은 중국의 전략적 미술 마케팅시대에서 민화와 문인화가 가다피대통령의 두아들 초상처럼 벽에 걸려있는것이었다.

누가 군왕이 될것인가?  하는 화제의 대두로 소련과 리비아의 회담이 있는것이었다.

고객에게 전략적 마케팅효과가있는 민화와 그상태를 개선시킨 문인화의 세력의 갈등은 여행과 무역의 대결같았다.

여행겸 찾아온 주현은 호텔로비에서 지배인을 찾는다.

지배인과 민화시계의 홍보를 마친후 혹시나해서 회담장소부근에 어슬렁거린다.

삼엄한 경비속에서 먼발치에서 그 둘정상의 모습을 볼까해서 그앞을 지나다가 누가 kgb마음에 들었을까? 누가 가다피의 마음에 들었을까?

하는 호기심에 가득차 있는데 두젊은이가 저벅저벅 그방을 나선다.

개혁과 개방의 물결속에서 한국내에서도 관심이 고조된 리비아의 세계는 세계의 역사를 바꾸는 두젊은이의 모습에서 풋풋함을 느낄수있었다.

주현은 복도를 내려와 경제자유구역이 설정된 리비아의 도시를 찾아본다.

트리폴리에서 멀지않았기때문에 여행버스를 타고 칸에서 여장을 푼다.

혼자 온다는 상상속에서 혼자왔다는 뿌듯함속에서 TV를 틀어본다.

TV에서는 가다피대통령의 모습이보이고 언뜻언뜻 한국어의 종알거림도 들린다.

신통방통하다는 상념속에서 한국어의 세계도 건설회사의 30년 터닦음의 결과인가?하는 생각을 하면서 잠을 청한다.

아침에 눈을 떠보니 사막의 여운과 해변의 여운을 느끼며 컴퓨터를 켜고 한국의 영어인터넷 자막을 쳐본다.

국내에서는 미래의 리비아 국가원수는 누구일까?하는 네티즌의 글귀가 간혹 비친다.

사막을 오락가락하는 상인들의 모습을 보면서 한잔의 콜라와 햄버거를 먹으며 리비아에 상륙한 스포츠의류브랜드를 보면서 탄성을 자아낸다.

가다피대통령의 얼굴이 인쇄된 티셔츠가 주를 이루었지만 중세의 복장에서 현대의 복장문화를 캐주얼로 느끼며 핸드폰대리점에 들어선다.

빌게이츠회장이 언급하던 핸드폰의 세계는 세계제일의 기업의 이미지를 느끼게하는 일등국민의 정신구조가 파생되었다.

언뜻어뜻 세탁소가 보이고 오피스텔과 자유경제무역의 구조는 유럽의 체온을 느끼게한다.

다시 트리폴리 대우호텔로 돌아와 한국에 돌아가기전에 지배인을 만난다.

그들은 시험삼아 하루 민화시계의 고체산소효력을 테스팅해보았다며 가져간 민화시계 세개를 구매하였다.

사우나실이 있으니 목욕하고 귀국하라는 지배인의 언급에 사우나실에 들러 물이 귀한 사막의 사우나의 모습에 감탄하면서 아이스크림을 먹고 누워있는데 잠깐 잠이들었다.

서서히 일어나 비행장으로 가는데 푸틴과 가다피 대통령의 리무진이 도착하는것을 사우나창문을 통하여 보면서 누기 후계자가 되었을까?하는 상념속에서 가다피대학과 교류중인 카이스트학생들의 모습을 떠올리며 비행기에 오른다.

구름속을 가로지르는 비행기에서 내려보는 지중해의 모습은 가깝고도 먼나라 리비아의 체온을 느끼며 여행의 중요함을 느끼며 문화의 혁명이 무엇인가?하는것을 느낀다.

한국과 리비아의 직항노선도 대우호텔과 금호아시아나의 노력으로 빚어진일이 발을 디뎌보지도 못할것 같은 사막에 왔구나!

하는것을 느끼며 선아에게 전화를 한다.

선아는 아무일없다는듯이 무언가를 언급하고는 전화를 끊는다.

인천공항에서는 여행을 주도했던 베니카직원들이 무사귀환을 축하하며 집으로 바래다주었다.

대우호텔은 베니카의 사원해외연수지역으로 민간외교역할을하여 국민들의 기대가 큰회사라서 고마움을 느끼며 민화시계를 선물로 주었다.

베니카는 민화사업에 자그마한 보탬이 되는 선물이라며 기뻐하며 다음 기회에 한번더 리비아여행을 주선한다며 연극은 매듭을 짓는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 이데일리 [현재창]
호텔 공사는 올해 말 착공돼 2010년 말 완공될 예정이다. ... 대우건설 관계자는 "리비아 트리폴리는 미국과의 관계개선으로 외국인 방문객이 크게 늘어나는 등 호텔 이용 수요가 급증하고 있어 사업 전망이 ...
edaily.co.kr/news/land/newsRead.asp?sub_cd=DF12&...&curtype=read (69k) 이 사이트에서 더보기 | 저장된 페이지
  • '자본주의 변신' 리비아는 낡은 건물 폭파 중 ... 카다피 '.. [현재창]
    리비아 제2의 도시인 '벵가지'에도 신공항이 2년 안에 완공될 계획이다. ... 대우건설은 최근 300~400실 규모의 5성급 특급 호텔을 트리폴리에 짓는 계약을 따냈고, 특급 호텔인 '팜 리조트'도 공사가 한창이다. ...
    article.joins.com/article/article.asp?ctg=13&Total_ID=2940432 (90k) 이 사이트에서 더보기 | 저장된 페이지
  • 뉴스프린트하기 [현재창]
    또한 2009년 8월 완공예정인 리비아 교육부가 발주한 예술학교 신축공사도 진행하고 있다. ... 또한 리비아대우 트리폴리 호텔 프로젝트, 사이판의 라오라오베이 골프 리조트 프로젝트를 진행 중에 있다. ...
    www.remagazin.com/print_paper.php?number=974 (15k) 이 사이트에서 더보기 | 저장된 페이지
  • 2009 농민신문 제13회 신춘문예 당선작 [단편소설]  2009-01-03

    제13회 신춘문예 당선작 발표 농민신문사가 주최한 제13회 신춘문예 공모전에서 단편소설 부문은 김유안씨(본명 김영애·대구 달서구 상인동)의 〈이사〉가 선정됐다. 신춘문예 단편소설 당선작-이사 김유안 올해 일흔 둘을 넘기는 연...

    blog.ohmynews.com/joasay/entry/2009-%E... 블로그명: 한밤의 음악 편지랭킹56,470위

     

    부동산개발업체, 장쑤성에 '한국신도시' 건설  

    2007.08.29 13:01:36 (*.0.209.157)
    1131

    ▲ 참가자들이 주최측의 설명을 경청하고 있다.


    중국 장쑤(江苏)성에 5만명이 생활할 수 있는 면적 60만㎡의 '한국 신도시'가 건설될 전망이다.

    중국 장쑤성 다펑(大丰)시정부 다펑항 경제구관리위원회와 다펑 코리아나도시개발(집단)유한공사는 지난 6일 오후 칭다오시 칭다오국제컨벤션센터에서 개최한 '다펑항 한국신도시 및 한국공업구 개발 사업설명회'에서 장쑤성 해안의 중심부에 위치해 있는 다펑시에 '한국신도시'를 개발하고 있다고 밝혔다.

    다펑시정부와 함께 '한국신도시'를 개발하고 있는 다펑코리아나도시개발(집단)유한공사는 "다펑항은 앞으로 장쑤성의 대표 국제항구로 성장할 수 있는 곳"이라고 소개하며 "다펑항경제구 내에 건설되는 '한국신도시'는 다펑시와 다펑코리아나도시개발이 50대 50의 지분을 갖고 개발하고 있다"고 밝혔다.

    다펑코리아나도시개발은 한국신도시를 크게 주거지와 상업지 2개 구역으로 나눠 한국인 생활문화의 특성을 최대한 반영하고 주변 자연환경을 최대로 활용한 친환경적인 생태도시를 건설할 계획이다.

    주거지에는 수 천 세대가 입주할 수 있는 한국형 아파트 단지가 건설될 예정이며 주변에는 국제학교, 종교 및 문화시설, 병원 등의 공공시설도 함께 건설된다.

    또한 상업지에는 상가 및 근린생활시설이 들어설 일반상업지역, 호텔과 외국인전용클럽이 건설될 숙박 및 위락지역, 무역센터와 여가 및 운동시설이 밀집돼 있는 스포츠레저타운등으로  나뉘어 공사가 진행되고 있다. 

    박명수 다펑코리아나도시개발 회장은 "중국에서 '한국신도시'라는 이름으로 개발되는 것은 다펑시 '한국신도시' 개발사업이 처음일 것"이라며 "부산시에 있는 일류 건축설계회사에 설계를 맡기는 등 한국보다 한국적인 신도시 개발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다펑코리아나도시개발은 '한국신도시' 인근지역에 400~600여 개의 기업이 들어설 수 있는 '한국공업원'도 개발하고 있다. 이 곳에는 전기 및 전자, 기계 및 자동차부품, 방직•의류•섬유, 완구•액세서리 및 공예품, 식품가공 등의 기업을 유치할 계획이다.

    다펑코리아나도시개발(☎ 0532-8590-0114)은 한국신도시와 한국공업원 개발에는 다양한 기업들의 참여가 필요하다고 밝히며 각 분야에서 수준높은 기술과 노하우를 가지고 있는 기업들과의 협력을 모색하고 있다.

    다펑항은 중국 동부연안해역 중에서 10만톤의 대형 선박이 출입할 수 있는 장쑤성 최대의 국제항구로 2006년 중국 국무원의 비준을 받아 2007년 9월 20일 개항할 예정이다.

    다펑항 개항으로 부산, 나가사키, 홍콩 등과 직항로가 개설되는 데 이어 내년에 쑤퉁(苏通)대교 개통으로 상하이(上海)까지 2시간 거리로 단축되면 다펑시는 장쑤성 연해의 중요한 교통중추 및 물류중심지가 될 전망이다. [온바오 칭다오 주창석]

     

     

     

    해외 오지 공략 물량 확보…한국타이어 '기러기팀의 힘'
    [한국경제신문] 2009년 04월 15일(수) 오후 05:42   가| 이메일| 프린트
    조현식 부사장
    70년대 맨몸 돌파식…중동·아프리카 돌며 한달 20일 밑바닥 영업

    한국타이어가 해외 신시장 개척을 위해 만든 '기러기팀'의 저인망식 영업이 성과를 내고 있다. 해외영업 경험이 많은 차장,과장급 7명으로 구성된 기러기팀이 예멘 이집트 리비아 수단 케냐 브라질 등 그동안 상대적으로 소홀했던 시장을 새롭게 뚫으면서 중동 아프리카 등의 매출이 전년 대비 200% 넘게 급성장하는 추세다. 이집트 시장의 올 수출 예상액은 1500만달러로 전년 실적(600만달러)의 2.5배에 달한다.

    기러기팀의 정식 명칭은 '신시장 개척 TFT(태스크포스팀)'.지난해 11월 조현식 부사장(한국지역본부장 겸 마케팅본부장)의 제안에 따라 사장 직속기구로 설치됐다. 한 달에 20일 넘게 해외를 떠돌며 밑바닥 훑기 영업을 벌이는 까닭에 가족과 생이별한 기러기아빠를 본떠 사내에서 '기러기팀'이라는 별칭을 얻고 있다.

    조 부사장은 "애초 기대한 것보다 훨씬 성과가 좋다"며 "모든 글로벌 타이어 업체들이 감산 몸살에 시달리는 와중에도 한 달에 하루 정도 공장을 돌릴 수 있는 물량을 이 팀에서 확보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한국타이어 국내 공장의 하루 생산량은 최대 12만본(개)에 이른다.

    팀 구성은 조 부사장의 부친 조양래 회장의 조언이 직접적인 계기가 됐다. "1970년대엔 가방 하나만 든 채 맨몸으로 부딪혀가며 새 시장을 열었는데,뭘 걱정하고 망설이느냐"는 조 회장의 말을 듣고 신시장 개척 방안을 놓고 고심하던 조 부사장이 곧바로 실행에 옮겼다.

    기러기팀의 가장 고참 직원인 장연재 차장은 "처음엔 아무 연고도 없는 곳에서 잘될까 걱정했지만 기우였다"며 "시장조사 등 사전 준비에 시간이 걸렸지만 발로 뛰는 영업은 상당히 효과적이었다"고 말했다. 그는 "고충은 있지만 개인적으로 좋은 경험을 쌓는 기회이고 회사로선 잠재력이 큰 시장을 선점한다는 점에서 보람을 느낀다"고 덧붙였다.

    시장 개척에 탄력이 붙으면서 최근엔 신변 위험을 무릅쓰고라도 출장을 떠나려는 직원을 만류하는 해프닝까지 벌어졌을 만큼 기러기팀의 영업은 공격적이다. 예멘에서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테러가 발생했을 때 한 직원이 출장을 준비하다 신변 안전을 걱정한 회사 측의 막판 제지로 보류했다. 이 직원은 "신규 거래선 관리를 위해 출장이 필요하다"며 "조만간 회사 측에 허가를 요청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조 부사장은 "요즘처럼 어려운 시기일수록 적극적인 영업이야말로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전략"이라며 "신시장개척팀의 활동은 고용 안정 및 장기적인 회사 성장을 위해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말했다.

    김수언 기자 sookim@hankyung.com

     

     

     韓-리비아 최혜국대우 무역협정

    - 韓-리비아 최혜국대우 무역협정
    - 韓-리비아 최혜국대우 무역협정
    - 韓-리비아 최혜국대우 무역협정

    韓-리비아 최혜국대우 무역협정
    [파이낸셜뉴스 2006-09-21 09:15]

    광고
    정부는 리비아와 무역확대에 대한 최혜국 대우 등을 골자로 하는 무역협정을 체결했다고 20일 밝혔다.

    리비아를 공식 방문중인 한명숙 총리는 이날 바그다디 마흐무디 리바아 총리와 회담을 갖고 지난 7년간 중단돼 왔던 한·리비아 공동위원회를 재개해 협의체계를 정례화하기로 합의했다.

    한총리는 회담에서 우리기업들의 유전개발 사업참여 확대를 요청했다.

    한총리는 “많은 한국기업들이 리비아 유전개발 사업에 참여하기를 희망하지만 입찰결과는 미흡한 수준”이라면서 리비아 정부의 협조를 요청했다.

    한총리는 또 “한국기업들의 플랜트·건설 부문 수주 확대에 힘써달라”면서 △비자 발급 여건개선 △현지 고용인 비율 완화 △사회보장협정 조속 체결 등도 함께 요청했다.

    리비아는 아프리카 1위의 산유국이지만 우리나라 기업들의 참여는 미진해 한국석유공사가 참여하는 한국 컨소시엄이 리비아 엘리펀트유전사업에 16.7%의 지분을 갖고 있는 게 유일하다. 지난해 석유광구 개발권을 국제 공개입찰했지만 우리기업들은 낙찰받지 못했다.

    정부 관계자는 “리비아 정부가 향후 3년간 5차례에 걸쳐 60개 광구개발권 분양을 추진키로 한 만큼 우리 기업들의 참여를 적극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dhlim@fnnews.com 임대환기자

     

     

    리비아 - 전력, 석유화학 등의 분야에서 투자 손길 기다려 ... 新-another

    2007/01/09 05:27

    복사 http://blog.naver.com/royals7/70012864824

    전력, 석유화학 등의 분야에서 투자 손길 기다려
    apply.hwp | oath.hwp | Conference일정.doc | 국내참가자등록신청서.doc |
     

    기요마 라흐마  주한 리비아대사관 상무관

    북아프리카 중앙에 위치한 리비아는 국토 면적이 177만 6천 ㎢로 한반도의 약 8배이며 아프리카 대륙에서는 4번째로 넓다. 사하라 사막과 지중해에 연해 있는 리비아는 여름에는 고온 건조하고 겨울에는 온난 다습한 전형적인 지중해성 기후를 보이고 있다. 전체 인구 약 512만 명(2000년 기준)의 85%가 도시에 거주하고 있으며 25세 이하가 국민의 61%에 달하는 젊은 국가다. 수도는 트리폴리며 이슬람을 국교로 하고 있고 공식 언어는 여타 중동 국가들과 같은 아랍어다.
    리비아는 OPEC의 일원으로 295억 배럴의 석유가 매장되어 있는 석유 및 가스 생산의 주요국인데 일일 석유 생산량은 140~ 150만 배럴이며 천연가스 생산량은 연간 1,800만 ㎥에 달한다. 따라서 주로 석유, 천연가스, 석유화학 제품 등을 수출하고 있으며 주요 수입품은 기계, 운송기계, 식품, 동물 등이다. 주요 수출입 상대국은 이탈리아, 독일, 프랑스, 스페인, 이집트, 튀니지 등 유럽 및 인근 아프리카 국가들이다.
    【 한-리비아 무역 관계 】  한국과는 1980년 수교 관계를 맺은 이래 꾸준히 교역량을 이어오고 있는데 지난해에는 대 한국 수출입이 급격히 증가해 수출입 부문의 증가율이 30%를 상회했다. 2004년 리비아의 대 한국 수출은 철강 수출 증가로 1,025만 6천 달러를 기록해 2003년의 395만 9천 달러에 비해 38.6%나 증가했고 대 한국 수입 역시 4억 4,712만 5천 달러로 2003년의 1억 3,591만 2천 달러에 비해 30.3% 증가했다. 동 기간 리비아의 대 한국 무역수지는 각각 1억 3,190만 달러, 4억 3,680만 달러를 기록해 우리나라 기업의 흑자 기조가 이어졌다.
    2004년 양국간 교역을 품목별로 살펴보면 리비아는 주로 철, 철강, 동, 알루미늄, 냉동 생선 등을 한국으로 수출하고 한국으로부터는 자동차 및 부품, 전기기계 및 장비, 산업용 기계, 가정용 전자제품 등을 수입하고 있다.
    【 한-리비아 투자 관계 】  최근 리비아 정부는 미국의 경제제재 해제로 탄력을 받고 있는 경제를 더욱 활성화하기 위해 전력과 석유화학 등의 분야에 대한 장기 투자계획을 세우고 외국인 투자 유치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또 공기업의 민영화 작업도 대대적으로 추진 중인데 일부 기업에 대해서는 외국인 투자도 허용한다. 이밖에 리비아 내 기업 활동을 장려하기 위해 법인세와 관세를 내리는 등 경제 관련 법규도 대폭 개정했다.
    한국-리비아 간 투자 부문을 살펴보면 아직 양국간 공동 투자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지만 현재 리비아에는 11개 한국 기업의 지사가 진출해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동 기업들은 발전소 건설 또는 담수화 사업 등 산업 기반시설, 공공건설, 석유 및 에너지 분야에서 수억 달러 규모의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다.
    리비아의 수요와 한국 기업의 강점을 감안할 때 한국 기업은 특히 전력, 석유화학 및 IT 등의 산업에 대한 투자가 유망할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한국 기업은 과거 리비아의 최대 국책사업인 대수로 공사를 성공리에 수행했을 뿐 아니라 리비아 국민들이 한국산 자동차 및 전자제품에 대해 좋은 이미지를 가지고 있어 리비아 진출 시 만족할 만한 성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몽골 “한국 전자무역시스템으로 무역강국 도약”
    [아시아경제] 2009년 04월 01일(수) 오전 11:01   가| 이메일| 프린트
    몽골이 한국의 전자무역 시스템을 도입해 무역 강국으로의 변신을 추진한다.

    전자무역기반사업자인 한국무역정보통신(KTNET, 대표 신동식)은 1일 몽골 울란바토르 징기스칸 호텔에서 ‘아시아개발은행(ADB) 주관 몽골 전자무역시스템 구축사업 수주에 따른 계약 서명식 및 사업 착수 설명회’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는 한국측에서 신동식 KTNET 사장과 정일 주몽골 대사, 이동구 몽골 한국국제협력잔(KOICA) 사무소장, SK C&C 등 프로젝트 수행직원이, 몽골측에서는 재무부장관, 관세청장, 국세청장, 대통령실 관계자 등 유관기관 담당자, ADB측에서 몽골 사무소장 등 60여명이 참석했다.

    KTNET은 몽골 관세청의 전자무역서비스 시스템을 종합적으로 구축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한국이 개발한 전자무역시스템이 해외에 수출되는 것은 몽골이 처음이다.

    몽골 전자무역시스템 구축사업은 관세행정정보시스템, 외부기관연계시스템, 포털시스템, 통관정보통합시스템, ICT 인프라 등 5가지 영역으로 나눠 진행된다.

    1단계로 추진 중인 관세행정정보시스템과 외부연계시스템은 지난해 7월부터 KOICA 자금21억원으로 구축하고 있다. 이날 계약을 통해 KTNET은 ADB 차관 40억원을 재원으로 나머지 3개 영역에 대한 개발을 본격 추진한다. 최종 시스템 구축 완료 시기는 내년 2월로 예정됐다. 특히 이번 사업은 여력이 넉넉지 않은 개도국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으로 KOICA와 ADB 양 기관이 공동으로 자금을 지원하는 새로운 형태로 시도돼 정부 해외원조사업의 새로운 사업모델을 개척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전자무역시스템이 완료되면 몽골내 무역업계는 수많은 수출입 업무 관련 종이 서류를 전자문서로 바꿔 비용 및 업무 부담을 줄일 수 있으며, 각종 유관기관으로 나눠진 업무를 모니터상에서 실시간으로 처리할 수 있어 시간도 절감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몽골은 자국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한편 해외기업의 투자 유치에 있어서도 큰 장점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TNET과 몽골 관세청은 1, 2단계 사업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 기술·업무 등 상호 협력을 공고히 하고, 양국 간의 무역투자 증진 활동에도 적극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신동식 사장은 “몽골 전자무역시스템 구축사업 수주는 우수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민·관이 협력하여 만들어낸 결과”라면서 “이번 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해 우리의 우수한 전자무역인프라를 해외의 더 많은 국가로 수출할 수 있는 계기로 삼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KTNET은 몽골 이외에도 카자흐스탄, 아제르바이잔, 키르키즈 등의 국가에 전자무역시스템 컨설팅 사업을 진행했으며, 우즈베키스탄도 사업타당성 분석을 진행하고 있다.

    지난달에는 리비아에서 시스템 도입 검토를 위해 실사단이 KTNET을 방문했으며, 베트남, 캄보디아 등도 관심을 나타내고 있다고 회사측은 전했다.

    채명석 기자 oricms@asiae.co.kr

     

     

    한국무역의 길잡이 주간무역 [현재창]
    리비아사절단, 한국형 전자무역시스템 도입 위해 방한. 김성경. 리비아 정부가 전자무역 시스템을 도입할 대상으로 한국을 가장 유력한 ... 리비아 정부는 전자정부시스템 구축에 10억 달러를 배정한 상태며, 전자무역시스템에만 6억 달러를 사용할 전망이다. ...
    www.weeklytrade.co.kr/sub_read.html?uid=5713§ion=sc1 (47k) 이 사이트에서 더보기 | 저장된 페이지

     

     

     

    유아이엘[현재창]www.dkuil.com

     

    제     목 [주리비아대사관] 리비아 Energy City 건설착수
    분     류 동향정보  국     가 리비아
    공고일자   마감일자  
    등록일자 2009/05/06
    ㅇ리비아는 09.4.26일 총 사업비 50억불 규모의 에너지시티 건설을 착수

    - 경제사회개발기금(ESDF)와 바레인 GFH가 40:60 공동투자한 합작회사 “Smart Energy City" 회사가 사업 수행

    - 위치: 트리폴리 서쪽 70㎞(Talel-Melleta Area)

    - 면적 : 780ha (7.8㎢)

    - 공기 : 3~5년(인프라 건설 18개월)

    - 기능 : 오일·가스 생산 및 정유, 거래, 수송, 미디어 등 에너지관련 산업 종사자들의 비즈니스 및 주거 공간

    - 지원시설: 주택, 관광센터, 승마, 요트장 등

    ㅇ 리비아는 상기 신도시 사업을 통하여 현지에 진출하였거나 향후 진출할 에너지 관련 기업들에게 첨단 인프라를 갖춘 편
    리한 비즈니스, 주거 및 레져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오일 및 가스 관련 외국기업들의 투자(FDI)를 촉진하고 나아가 관광산업
    의 활성화도 기대하고 있는 것으로 보임



    제공자 : 주리비아 대사관 김정희 (kkkkkk86@korea.kr 218-21-483-1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