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컷뉴스 안윤석 대기자]
미국은 북한 핵 문제를 해결하려면 북한의 정권교체를 유도해야 한다고 국방부 고위 관리가 한 기고문에서 밝혔다.
미국의 소리 방송에 따르면 그레고리 슐티 국방부 우주정책 담당 부차관보는 외교전문지 '포린 어페어스' 7/8월 호에 실린 기고문에서, "현재 집권해 있는 북한과 이란 지도자들의 핵 야욕을 포기시키기에는 너무 늦었다"고 지적했다.
슐티 부차관보는 "그들에게는 핵무기 보유에 따른 위신과 안전보장, 영향력이 국제사회로부터 받는 가벼운 처벌과 불확실한 보상 보다 훨씬 중요하다"고 말했다.
슐티 부차관보는 따라서 "미국 정부와 동맹국들은 북한과 이란 내부의 정치적 변화를 고무해 정권교체가 이뤄지는 방향으로 외교정책과 제재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지금까지 아르헨티나와 리비아, 남아프리카공화국 등 모두 18개 나라가 핵무기를 해체했으며, 이들 나라의 핵 포기는 지도자들의 성향과 그들이 외부세계와 맺고 있는 관계에 의해 가장 큰 영향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슐티 부차관보의 주장은 비록 현직에 임명되기 전에 나온 것이긴 해도, 미국 정부 고위 관계자가 핵 문제 해결을 위한 북한 내 정권교체를 거론한 것은 매우 이례적인 것이다.
슐티 부차관보는 또 "미국이 북한과 이란과의 핵 협상에도 집중하지 말아야 한다"면서 "협상을 할 경우 북한과 이란 지도자들의 외교적 영향력과 대내적 합법성이 강화된다"고 지적했다.
그는 "핵 협상 보다는 북한과 이란의 핵 프로그램이 역내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슐티 부차관보는 "이란의 경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추가 제재안을 통과시키는 것 보다는 미국이 중동국가들과 긴밀한 안보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고 말했다.
또 "북한의 경우 차기 6자회담 일정을 잡기 보다는 북한의 미래에 대해 중국과 대책을 세우는 것이 훨씬 중요하다"고 말했다.
슐티 부차관보는 "이처럼 북한과 이란의 핵 야욕을 꺾는 장기적인 계획을 세우는 한편, 새로운 핵 보유국이 생기지 않는데 보다 큰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슐티 부차관보는 2005년에서 2009년까지 국제원자력기구(IAEA) 주재 미국대사를 지냈으며, 이번 기고문은 지난 5월 국방부 현직에 임명되기 전에 발표한 것이다.
ysan@cbs.co.kr
美국방부관리 "핵 문제 해결위해 북 정권교체 유도"
오바마, 한국전 60주년 성명 발표할 듯
정상회담서도 직접 언급하며 한미동맹 강조 방침
美국방부도 펜타곤서 공식기념행사 거행(워싱턴=연합뉴스) 성기홍 특파원 = 미국은 올해 한국전쟁 60주년을 맞아 전쟁 발발일인 6월25일을 앞두고 이번주중 한국전 60주년의 의미를 인식하고 한미동맹을 강조하는 버락 오바마 대통령 명의의 성명을 발표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중인 것으로 20일 알려졌다.
특히 오바마 대통령은 캐나다 G20(주요 20개국) 정상회의(26∼27일)를 계기로 열릴 이명박 대통령과의 한미정상회담에서도 한국전쟁과 한미동맹에 대해 직접 언급할 것으로 전해졌다.
미 행정부 관계자는 "한국전쟁 60주년을 맞아 한미동맹의 의미를 되새기고 이를 더욱 공고히 하는 차원에서 대통령이 선언(proclamation)이나 성명(statement) 형식으로 입장을 밝히는 방안이 내부적으로 검토되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전 60주년 공동결의안을 채택하기 위해 상.하 양원이 각각 결의안을 처리하는 과정에서도 미 의회내에서 오바마 대통령에 게 별도의 성명을 발표하도록 촉구해야 한다는 의견이 개진된 것으로 전해졌다.
의회 관계자는 "미 하원이 마련한 결의안 초안에는 `대통령 한국전 60주년 성명 발표 촉구' 항목도 들어 있었으나 행정부에서 이미 이 방안을 자체 검토중이라는 얘기들이 있어서 최종 채택된 결의안에서는 빼는 쪽으로 정리됐다"고 설명했다.
오바마 대통령이 한국전 60주년 성명을 발표할 경우 한국전의 역사적 중요성을 강조하고 참전용사들의 희생을 추모하며, 한미동맹을 더욱 굳건하게 다져 한반도의 평화와 번영을 위해 공동노력해야 한다는 내용이 포함될 것으로 전해졌다.
오바마 대통령은 이번주말 예정된 이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는 천안함 사건에 대한 양국의 공동대응 기조를 재확인하고 한미동맹의 공고함을 강조하는 과정에서 한국전 60주년의 의미에 대해 직접 언급할 것으로 알려졌다.
천안함 사건 대응과정에서 백악관이 이례적으로 두 차례 연쇄 성명을 낸데 이어 오바마 대통령이 한국전쟁 60주년을 맞아 성명을 내거나 직접 언급하는 형태로 입장을 밝힐 경우 긴밀한 한미동맹을 거듭 확인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앞서 오바마 대통령은 지난주 상.하원에서 각각 통과된 한국전 60주년 결의안이 조정작업을 거쳐 `공동결의안'(Joint Resolution)으로 채택돼 백악관으로 송부돼 오면 이에 공식 서명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미국 국방부도 오는 24일 이례적으로 펜타곤 청사에서 한국전 60주년을 기념하는 공식 행사를 거행할 예정이다. 이 행사는 미 정부 차원에서 진행되는 첫 행사로 행정부는 물론 상.하원 의원, 참전용사 등도 참석한 가운데 열린다.
국방 관계자는 "미 행정부가 한국전 60주년에 대해 많은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며 "예년에는 정부 차원의 한국전 기념행사가 없었지만 60주년이기 때문에 특별히 펜타곤 청사안에서 공식행사를 진행한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펜타곤 기념행사는 정전협정 체결 60주년을 맞는 오는 2013년 7월27일까지 이어질 각종 한국전 기념행사들의 첫 막을 여는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sgh@yna.co.kr
美국방부도 펜타곤서 공식기념행사 거행(워싱턴=연합뉴스) 성기홍 특파원 = 미국은 올해 한국전쟁 60주년을 맞아 전쟁 발발일인 6월25일을 앞두고 이번주중 한국전 60주년의 의미를 인식하고 한미동맹을 강조하는 버락 오바마 대통령 명의의 성명을 발표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중인 것으로 20일 알려졌다.
특히 오바마 대통령은 캐나다 G20(주요 20개국) 정상회의(26∼27일)를 계기로 열릴 이명박 대통령과의 한미정상회담에서도 한국전쟁과 한미동맹에 대해 직접 언급할 것으로 전해졌다.
미 행정부 관계자는 "한국전쟁 60주년을 맞아 한미동맹의 의미를 되새기고 이를 더욱 공고히 하는 차원에서 대통령이 선언(proclamation)이나 성명(statement) 형식으로 입장을 밝히는 방안이 내부적으로 검토되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전 60주년 공동결의안을 채택하기 위해 상.하 양원이 각각 결의안을 처리하는 과정에서도 미 의회내에서 오바마 대통령에 게 별도의 성명을 발표하도록 촉구해야 한다는 의견이 개진된 것으로 전해졌다.
의회 관계자는 "미 하원이 마련한 결의안 초안에는 `대통령 한국전 60주년 성명 발표 촉구' 항목도 들어 있었으나 행정부에서 이미 이 방안을 자체 검토중이라는 얘기들이 있어서 최종 채택된 결의안에서는 빼는 쪽으로 정리됐다"고 설명했다.
오바마 대통령이 한국전 60주년 성명을 발표할 경우 한국전의 역사적 중요성을 강조하고 참전용사들의 희생을 추모하며, 한미동맹을 더욱 굳건하게 다져 한반도의 평화와 번영을 위해 공동노력해야 한다는 내용이 포함될 것으로 전해졌다.
오바마 대통령은 이번주말 예정된 이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는 천안함 사건에 대한 양국의 공동대응 기조를 재확인하고 한미동맹의 공고함을 강조하는 과정에서 한국전 60주년의 의미에 대해 직접 언급할 것으로 알려졌다.
천안함 사건 대응과정에서 백악관이 이례적으로 두 차례 연쇄 성명을 낸데 이어 오바마 대통령이 한국전쟁 60주년을 맞아 성명을 내거나 직접 언급하는 형태로 입장을 밝힐 경우 긴밀한 한미동맹을 거듭 확인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앞서 오바마 대통령은 지난주 상.하원에서 각각 통과된 한국전 60주년 결의안이 조정작업을 거쳐 `공동결의안'(Joint Resolution)으로 채택돼 백악관으로 송부돼 오면 이에 공식 서명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미국 국방부도 오는 24일 이례적으로 펜타곤 청사에서 한국전 60주년을 기념하는 공식 행사를 거행할 예정이다. 이 행사는 미 정부 차원에서 진행되는 첫 행사로 행정부는 물론 상.하원 의원, 참전용사 등도 참석한 가운데 열린다.
국방 관계자는 "미 행정부가 한국전 60주년에 대해 많은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며 "예년에는 정부 차원의 한국전 기념행사가 없었지만 60주년이기 때문에 특별히 펜타곤 청사안에서 공식행사를 진행한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펜타곤 기념행사는 정전협정 체결 60주년을 맞는 오는 2013년 7월27일까지 이어질 각종 한국전 기념행사들의 첫 막을 여는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sgh@yna.co.kr
푸틴 "잘 날고 있나..." <YONHAP NO-0347 번역> (AP) POOL

(AP=연합뉴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총리(왼쪽)와 수호이 사(社) 회장 미하일 포고시안이 17일 러시아 주코브크시에서 러시아의 새로운 전투기 수호이 T-50의 시험 비행을 참관했다. 수호이 T-50은 미국의 F-22 랩터 전투기에 대항하여 만든 전투기이다./2010-06-18 11:45:04/

'YS기록전시관' 준공식에 참석한 이명박 대통령2010-06-18 뉴시스
【거제=뉴시스】최운용 기자 = 이명박 대통령과 김영삼 전 대통령이 18일 경남 거제시 장목면 대계마을에서 열린 'YS 기록전시관' 준공식에 참석해 기념식수 행사장에 입장하고 있다. (사진=거제시청 제공)이명박 대통령 크리시나 인도 외교장관 접견2010-06-17 뉴시스
【서울=뉴시스】김종현 기자 = 17일 청와대에서 이명박 대통령이 크리시나 인도 외교장관을 접견하고 있다. (사진=청와대 제공)photo@newsis.com <저작권자ⓒ '한국언론 뉴스허브'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