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은자와 죽인자, 그리고 30년…'10.26사태' 재평가 되나
노컷뉴스 원문 기사전송 2009-10-25 12:08
박정희 전 대통령, 김재규 전 중앙정보부장 재평가 움직임
[CBS사회부 임진수 기자] 10.26 30주년을 맞아 박정희 전 대통령에 대한 재평가 움직임은 물론 박 전 대통령을 총으로 쏜 김재규 전 중앙정보부장에 대한 재평가 움직임도 조심스럽게 일고 있다. 오는 10월 26일은 박정희 전 대통령이 김재규 전 중앙정부부장의 총에 맞아 숨진지 30년이 되는 날이다. 이에 발맞춰 박 전 대통령에 대한 재평가 움직임이 활발하다. 박 전 대통령의 공적에 대한 각종 토론회가 열리는 것은 물론 한때 좌초됐던 기념관 설립 움직임도 다시 일고 있다. 실제로 최근 실시된 한 여론조사에서는 '지금 박정희 전 대통령에 대한 재평가가 필요한 시점이다'라는 응답이 72.8%에 이르렀다. 또 '박정희 전 대통령 기념사업이 필요함에 동의한다'는 응답 역시 74.9%에 이르러 최근 일고 있는 박정희 재평가 움직임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군부독재정권'이라는 그늘에 가려 산업화를 이룬 박 전 대통령의 지도력이 평가절하되고 있다는 것이 박정희 재평가론자들의 일관된 주장이다. 반면 다른 한켠에서는 박 전 대통령에게 총을 쏜 김재규 전 중앙정보부장에 대한 재평가 움직임 역시 일고 있다. 함세웅 신부와 강신옥 변호사 등 민주화운동에 몸담았던 소수의 지식인들은 그동안 '김재규 명예회복위원회'를 구성해 조용히 활동해 왔다. 하지만 올해는 10.26 30주년을 맞아 연말에 학술토론회를 여는 등 조심스럽게 김재규 전 중정부장에 대한 재평가를 공론화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 30년전 김재규 전 중정부장의 변호를 맡은 강신옥 변호사는 "김재규는 사심없이, 평생집권으로 치닫는 유신의 심장을 멈춰야되겠다는 생각에서 방아쇠를 당겼다"고 말한다. 강 변호사는 "물론 박정희 전 대통령이 산업화를 일궈내긴 했지만 그 과정에서 너무나 큰 희생과 무리수가 있었고 김재규 전 중정부장은 더 큰 희생이 있기 전에 이를 멈춰야 한다고 생각했다"고 설명했다. 이처럼 김재규 재평가론자들은 그동안 알려진 김재규의 행적은 신군부가 자신들의 집권을 위해 조작한 것일뿐 김재규는 온몸을 바쳐 유신철폐를 이뤄냈다고 주장하고 있다. 죽은자와 죽인자, 그리고 30년이 지난 지금. 아이러니하게도 이들에 대한 각기 다른 시각의 재평가 움직임이 일고 있다. jslim@cbs.co.kr
"박정희 대통령, 개헌 뒤 하야하려 했다"
[조선일보] 2009년 10월 26일(월) 오전 08:37 가 가 | 이메일| 프린트
박상범 전 청와대 경호실장은 “ 박정희 전 대통령은 (집권) 말년에 유신헌법을 개정한 뒤 물러나려는 계획을 갖고 있었다”고 밝혔다고 서울신문이 26일 보도했다. 박 전 경호실장은 지난 23일 ‘10·26’ 30주년을 앞두고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했다. 박 전 실장은 1979년 박 전 대통령이 시해된 ‘10·26’ 현장에 있던 경호원 중 유일한 생존자이다. 당시 박 전 실장은 경호계장이었다. 이 신문에 따르면 그는 “박 전 대통령이 집권 18년 정도 됐을 때인데 ‘1∼2년 뒤에는 하야를 해야하지 않겠나’라는 말을 사석에서 했던 걸로 기억한다”고 말했다. 박 전 실장은 “ 남덕우 전 국무총리가 회고록에서 1978년 경제특보 재임 당시 ‘유신헌법의 대통령 선출방식은 내가 봐도 엉터리야. 그러고서야 어떻게 국민의 지지를 받을 수 있겠어.’라며 개헌 후에 물러나겠다는 박 전 대통령의 육성을 기록한 것을 들어본 적이 있느냐”라는 질문에 “‘1~2년 뒤에는 내가 하야를 해야 하지 않겠나’하는 말을 사석에서 했던 걸로 기억한다”고 말했다. 그는 “박 전 대통령의 지시로 유신헌법 개정안 초안 작업을 하던 신직수 법률특보가 ‘10·26’ 이후 관련 자료를 폐기했다는 증언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는 “박 전 대통령은 1~2년 뒤에 하야하려는 생각을 확실하게 갖고 있었다”고 이 신문에 말했다. 박 전 실장은 “ 포항제철(현 포스코) 제2제철소는 본래 충남 아산에 만들려고 결정됐다가 광양으로 바뀌었다”면서 “당시 박 전 대통령을 모시고 (아산) 현장에 갔을 때 중국 쪽에서 바람이 불어 매연이 내륙으로 들어온다며 전문가들이 건의를 하자 박 전 대통령이 현지에서 ‘그럼 광양으로 하자’고 결정했던 기억이 난다”고 서울신문에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