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중공업이
사우디아라비아에 공급될 3000억원 규모의 발전설비를 수주했다.
두산중공업은 사우디아라비아 마라픽(Marafiq) 화력발전소 5, 6호기에 공급될 보일러(250MW급ⅹ2기)와 증기터빈 2기 등 주요 기자재 공급계약을, 이 프로젝트의 설계·조달·시공(EPC) 계약업체인
한화건설과 체결했다고 8일 밝혔다.
사우디아라비아 제다 지역 북쪽으로 300㎞ 떨어진 홍해 연안의 얀부 산업단지에 들어설 마라픽 발전소는 36개월간의 공사를 거쳐 2012년 완공될 예정이다. 마라픽은 사우디아라비아 최대 산업 단지인 주베일 공단과 얀부 공단의 전력과 용수 공급을 위해 설립된 현지 최초의 민간투자 전력회사로 사우디아라비아의 발전과 담수 총 생산량의 25%를 책임지고 있다.
두산중공업 서동수 부사장(발전BG장)은 “이번 수주를 계기로 사우디아라비아 발전시장 진출을 가속화 하겠다”며 “사우디아라비아는 최근 오일가격 상승으로 자금이 풍부하며, 향후 전력난 해소를 위한 신규 발전소 건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어 추가적인 발전소 수주도 기대된다”고 말했다.
두산중공업은 사우디아라비아 발전시장에 지난 2003년 복합화력발전소용 배열회수보일러(HRSG)를 수주하며 첫 진출한 이래 그동안 15기의 HRSG를 수주했다. 이번 계약으로 보일러, 증기터빈 등 화력발전소용 주요 기기까지 공급하게 됨으로써 향후 사우디 발전시장 진출을 더욱 가속화할 계획이다.
/rainman@fnnews.com 김경수기자
두산重, 3천억 규모 사우디 발전설비 수주
[노컷뉴스] 2009년 09월 08일(화) 오후 09:07 가
가
| 이메일| 프린트
[경남CBS 이상현 기자]두산중공업(사장
박지원)이
사우디아라비아에 공급될 3,000억 원 규모의 발전설비를 수주하는 데 성공했다.
두산중공업은 8일 "사우디아라비아 마라픽 화력발전소 5,6호기에 공급될 보일러(250MW급)와 증기터빈 2기 등 주요 기자재 공급계약을 이 프로젝트의 EPC 계약업체인
한화건설과 체결했다"고 밝혔다.
사우디아라비아 제다 지역 북쪽으로 300km 떨어진 홍해 연안 얀부 산업단지에 들어설 마라픽 발전소는 36개월간의 공사를 거쳐 2012년 완공될 예정이다.
두산중공업은 사우디아라비아 발전시장에서 지난 2003년 복합화력발전소용 HRSG(배열회수보일러)를 수주하며 첫 진출한 이후, 그동안 15기의 HRSG를 수주한 데 이어, 이번 계약으로 보일러, 증기터빈 등 화력발전소용 주기기까지 공급하게 됨으로써 향후 사우디 발전시장 진출이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두산중공업 서동수 부사장은 "사우디아라비아는 향후 전력난 해소를 위한 신규 발전소 건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어 추가적인 발전소 수주도 기대된다"며, "이번 수주를 계기로 사우디아라비아 발전시장 진출을 가속화 하겠다"고 말했다.
hirosh@cbs.co.kr
사우디 정부는 오일달러 위주의 경제 구조를 개편하기 위해 고부가가치 석유제품 생산을 위한 정유공장 및 가스전 개발에 주력하는 한편 지역간 경제 불균형을 위해 민간자본을 유치해 대규모 경제 신도시 건립을 추진중이다.
대표적인 것이 STX중공업이 이뤄낸 경제 신도시 프로젝트다. 앞으로 사우디발 플랜트 발주의 상당수가 이들 경제 신도시 개발 프로젝트에서 나올 전망이다.
 중동의 가스, 원유, 정유, 석유화학, 담수 및 발전 프로젝트의 최신 소식을 종합하여 알려 드립니다.
1. 사우디 전력회사의 쿠라야 복합화력 발전소 프로젝트 쿠라야 복합화력 발전소 프로젝트의 입찰에서 18.5억 불의 최저가를 제출한 아라비안 벰코와 두산중공업의 컨소시엄이 사우디 전력회사와 막판 협상을 진행하면서 수주에 매우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프로젝트는 현재 벰코가 건설하고 있는 2,000 MW의 개방사이클 발전소를 복합화력으로 전환하고 총 발전용량을 3,000 MW로 확장하는 사업으로 2011년에 완공될 예정이다.
2. 사우디 전력회사의 라빅 발전소 6단계 확장 프로젝트 사우디 국영전력회사가 발주하는 라빅 발전소 6단계 확장 프로젝트의 재입찰 마감일이 10월 31일로 연장된 가운데 알스톰, 지멘스, 아라비안 벰코, NCC, 마루베니, 미쯔비시중공업, 두산중공업, 현대중공업 등이 입찰을 준비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의 전력 생산량은 2,400-2,800 MW이며 투자비는 30억 불 규모다.
3. 사우디 사스렢의 쥬베일 정유공장 내 초저유황 경유 생산시설 프로젝트 아람코와 쉘의 합작법인인 사스렢이 발주하는 초저유황 경유 (Ultra-Low-Sulphur Diesel) 생산시설 프로젝트의 입찰 마감일이 10월 9일로 예정된 가운데 테크닙, CBI루무스, 포스터휠러, 스남프로게티, 도요엔지니어링, JGC, 치요다, 삼성엔지니어링 등이 입찰에 초청받았다. 이 프로젝트는 일산 9만 배럴의 초저유황 경유 생산시설을 주베일에 건설하는 사업으로 투자비는 1억 불 규모로 예상되고 있다.
4. 사우디 알라즈히 스틸의 철근공장 프로젝트 알라즈히 (Al-Rajhi) 철강회사가 발주한 철근공장 프로젝트를 이태리의 다니엘리 (Danieli)사가 2.13억 불에 수주하였다고 지난 8월 23일 밝혔다. 이 프로젝트는 연산 1백만 톤의 철근공장을 젯다에 건설하는 사업으로 2011년 11월에 완공될 예정이다.
5. 사우디/쿠웨이트의 알카프지 원유생산시설 확장 프로젝트 사우디와 쿠웨이트 중립지대에 위치한 알카프지 유전지대에 대한 육상부분 원유생산시설 확장 프로젝트가 내년부터 본격화된다. 우선적으로 PMC입찰서가 월리파슨스, 포스터휠러, 아멕 등을 대상으로 오는 10월에 발급되며, EPC입찰서는 내년 상반기에 발급될 예정이다. 이 프로젝트는 수처리 및 원유처리시설, 경유탱크, 가스 및 NGL 수출 시스템 등이 포함된 원유생산시설 확장사업으로 발주처는 사우디 아람코와 쿠웨이트 KOC의 50:50 합작법인인 알카프지 JO다.
6. 쿠웨이트 KOC의 쥐라기 원유생산시설 조기개발 프로젝트 쿠웨이트석유회사 (KOC)는 쥐라기 원유생산시설 조기개발 프로젝트의 입찰 마감일을 10월 6일로 또 다시 연기하였다. 이 프로젝트는 하루 15만 배럴을 처리할 수 있는 원유처리와 집하시설을 건설하는 8억 불 규모의 사업으로 SK건설과 사우디 알코라예프의 컨소시엄, 라쉬드와 미국 프로세스 언리미트드의 컨소시엄, 페트로팩 등이 입찰을 준비하고 있다. (입력: 2009년 8월 30일) |
정몽준 “재산은 어떻게 쓰느냐가 중요…사회 기여할 좋은 방법 찾겠다"
[조선일보] 2009년 09월 09일(수) 오전 08:17 가
가
| 이메일| 프린트
정몽준 한나라당 대표는 자신의 재산을 사회에 헌납하는 문제와 관련해 “내 재산이 수십만 개의 일자리를 만드는 데 밑거름이 되고 있지만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더 좋은 방법이 있는지 생각해 보겠다”고 말했다고
동아일보가 9일 보도했다.
정 대표는 8일 국회 한나라당 대표실에서 가진 동아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이명박 대통령의 재산 헌납에 대해 “쉽지 않은 결정을 하셨다. 재산은 어떻게 쓰느냐가 중요하고, 저도 (제 재산이) 잘 활용이 되고 있느냐를 항상 생각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정 대표는 또 18대 국회에서 여야의 몸싸움 등 정쟁이 격화된 것과 관련해 “제도적으로 의원의 독립성을 보장하는 제도가 좀 약해서 그런 집단적인 행동이 일어났다”며 “의원의 독립성을 보장하기 위해선 일본식 공천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의원은 자유롭게 투표해야 한다”면서 “의원이 양심에 따라 행동하지 못하게 하는 제도적 장치를 고쳐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운찬 국무총리 내정자의 ‘재검토’ 발언으로 논란이 되고 있는 세종특별자치시 설치법과 관련해 정 대표는 “원안대로 처리돼야 한다”고 전제한 뒤 “세종시에 무엇을 채울 것인지는 국민 여론에 따라야 한다”고 말했다.
정 대표는 차기 대통령선거에 도전하는 문제에 대해선 “‘공직(公職)과 죽음은 그로부터 도망가려는 것도 어리석고, 찾아다니는 것도 어리석다’는 격언으로 답변을 대신하겠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 "새만금연결 동서고속도로 긍정검토"
[매일경제] 2009년 09월 09일(수) 오전 11:10 가
가
| 이메일| 프린트
이명박 대통령은 지난해
매일경제가 제안한
새만금과 연결하는 동서고속도로 건설과 관련해 "터널이나 교량을 많이 만드는 문제가 있지만, 긍정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청와대에서
한나라당 정몽준 신임 대표와 조찬을 겸한 첫 당정회동을 갖고 이같이 밝혔다고 배석한
조해진 대변인이 당정회동 직후 여의도 당사에서 브리핑을 통해 전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또
4대 강 살리기 예산이 16조 원인데 22조 원으로 잘못 알려졌고, 그 가운데 8조 원은
수자원공사가 맡아 하기로 돼 있는데 4대 강 예산 때문에 내년 예산이 줄어든다는 오해가 있는 것 같은데 그렇지 않다고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