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 제29대 왕. 성은 김씨. 이름은 춘추.
설명
신라 제29대 왕(654∼661). 성은 김씨(金氏). 이름은 춘추(春秋). 진지왕(眞智王)의 손자로 이찬(伊飡) 용춘(龍春 또는 龍俊)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진평왕(眞平王)의 딸인 천명부인(天明夫人)이고, 비는 김유신(金庾信)의 누이동생 문명부인(文明夫人)이다. 화백회의(和白會議)에서 왕으로 추대되어 최초의 진골출신 왕이 되었다. 웅변에 능하고 외교수단이 뛰어나 사신으로 여러 차례 당(唐)나라에 파견되어 외교성과를 거두었다. 642년(선덕여왕 11) 백제의 침입으로 대야성(大耶城)이 함락되고 사위인 성주(城主) 김품석(金品釋)이 죽은 뒤 백제에 보복하고자 고구려에 원병을 청하러 갔으나 한강 상류유역의 영토반환문제로 오히려 억류되었다가 돌아왔다. 김유신 누이와의 정략결혼으로 새로 진골귀족에 편입된 금관가야계의 군사력을 흡수하여 진골귀족 내에 신귀족집단을 형성하였다. 이에 대항하여 647년 일어난 비담의 반란을 진압하고 진덕여왕을 세우는 과정에서 구귀족세력을 배제하고 정치적 실권을 완전히 장악하였다. 자주적인 연호를 버리고 당나라 연호를 사용하는 등 적극적인 친당정책을 추진한 끝에 당 태종에게서 군사지원을 약속받아 삼국통일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즉위년인 654년 이방부령(理方府令) 양수(良守)에게 이방부격(理方府格) 60여 조를 개정하도록 하여 율령정치에 의한 왕권강화를 꾀하였다. 655년 아들 법민(法敏;文武王)을 태자에 임명하여 왕권의 안정을 꾀하고 직계친족을 요직에 임명, 자신의 권력기반을 강화하였다. 660년 측근 김유신을 과거 귀족세력의 대표로서 왕권견제세력이었던 상대등에 임명, 왕권 전제화의 계기를 마련하였다. 같은 해 3월 나당(羅唐)연합군이 결성되어 당나라군 13만 명이 백제를 침공하자, 5월 태자 법민, 김유신 등과 함께 정병(精兵) 5만 명을 이끌고 본격적인 백제정벌에 나서 7월 백제를 멸망시켰다. 661년 고구려를 정벌하고자 군사를 일으켰으나 삼국통일을 완성하지 못하고 죽었다. 묘호는 태종(太宗). 시호는 무열(武裂).
충남도, 무령·의자왕 이야기 빛으로 본다
[한국일보] 2009년 08월 03일(월) 오전 02:58 가
가
| 이메일| 프린트
10월 백제문화제 수상 멀티미디어쇼 첫선
백제 무령왕과 의자왕을 주제로 한 수상 멀티미디어쇼가 10월 충남 공주와 부여에서 선보인다.
충남도는 2일 백제문화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기 위해 마련한 제55회 백제문화제 기간(10월9~19일) 주말 저녁에 공주 공산성과 부여
낙화암에 화려한 조명과 빛을 투영한 수상 멀티미디어쇼를 열기로 했다고 밝혔다.
금강변에서 열리는 공주 공연은'백제, 다시 강국이 되다'란 주제로 무령왕 탄생설화와 백제문화의 발전과정, 교류왕국 백제의 기상, 백제의 중흥을 위한 무령왕의 꿈 등을 보여준다. 삼천궁녀의 넋을 기리는 한국무용단의 화려한 공연으로 시작하는 부여 백마강변공연은'백제의 혼, 다시 꽃 피우다'란 주제로 관광객들에게 역사왜곡 속에 가려진 백제의 진실과 역사에 대한 자부심 등을 전달하게 된다.
올해 백제문화제서는 또 온 가족이 함께 백제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체험 프로그램이 대폭 늘어나고 지난해 3,000여명의 시민이 탈을 쓰고 퍼레이드에 참가해 색다른 볼거리를 선사했던 웅진성 퍼레이드가 올해는 1만명 규모로 확대된다.
이밖에 올해 백제문화제에선 천안시의 흥타령 민속설화인 마당극 '능소의 사랑'과 보령시 도미부인설화,서산 용대기놀이 등 도내 각 지역의 설화나
전통놀이 공연도 펼쳐진다.
도 관계자는 "올해 백제문화제는 '2010 대백제전'전의 전초전이란 점에서 실제 대백제전을 치른다는 차원에서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허택회 기자 thheo@hk.co.kr
태종무열왕릉을 찾아서
태종 무열왕의 이름은 김춘추이고 진지왕의 손자이고 아버지는 용춘이며 비는 김유신의
막내동생인 문희이며 태종은 무열왕의 묘호이며 무열왕릉은 신라의 왕릉
중에서는 무덤의 주인공이 가장 확실한 왕릉이라고 합니다
태종무열대왕지비각

태종무열왕릉 우측에 있는 비각으로 근래에 세운 비각입니다만 귀부의 네모퉁이에는
초석이 남아 있어서 당초에도 비각이 있었던 것으로 추측하고 있습니다
남아 있는 귀부와 이수

능의 동북쪽에 능비가 있으나 현재는 귀부와 이수만 남아 있고 비신은 없어졌다고 합니다
등에는 6각의 귀갑을 새겼고 둘레에는 구름무늬가 조각되었으며
중앙에는 연화무늬 속에 비좌가 있습니다
비신의 갓머리 장식인 이수

비신의 갓머리 장식인 이수의 전면에는 여섯마리의 용이 여의주를 받들고 있는 모양이
새겨져 있고 그 중앙에는 태종무열대왕지비 라는 글씨가 새겨져 있습니다
비의 글씨는 태종의 둘째 아들이며 명필로 이름이 높았던 김인문의 글씨라고 합니다
태종무열대왕지비 라는 글씨

이수의 중앙에는 전서체(篆書體)로 태종무열대왕지비(太宗武烈大王之碑) 라는 2행 8자의 글씨가
양각으로 새겨져 있습니다 이 명문에 의하여 무열왕릉이 신라의 역대 능묘 중에서
피장자가 명확한 유일한 능이 되었다고 합니다
이수와 귀부

이수는 비신의 갓머리 장식이고 귀부는 비의 받침돌인데 태종무영대왕의 귀부는
비의 머리인 이수만 등에 지고 있고 비신은 간곳이 없습니다
조선 연산군때 학자였던 매계 조위라는 사람은
" 뿌려진 비석이 황초가운데 버려져 있고 읽어보고 싶으나 결락이 심해 읽을 수가 없구나"
라는 싯귀로 보아 그 때까지는 아마 비신조각들이 부근에 있었는지도 모른다고 합니다
이수의 측면

이수에는 양쪽에 3마리씩 6마리의 용이 서로 얽혀서 뒷다리를 들어 여의주를 받들고
있는데 마치 살아서 꿈특거리는 것 같은 생기가 약동하고 있습니다
귀부 거북이 목 부분의 조각

목 부분의 보상화 무늬를 조각한 솜씨도 아름답지만 화강암의 내부에서 나오는 자연의
붉은 색을 거북의 턱 밑에 오도록 하여 피가 통해 마치 살아 있는 것 같은 느낌을
주게 한 것은 신의 재주라고 표현해야 좋을 것 같습니다
거북의 뒷발가락이 4개

김인문의 묘비에는 귀부의 발가락이 앞 뒤 모두 5개가 조각되어 있는데 태종무열왕릉의
귀부는 앞 발가락은 5개이고 뒷 발가락이 4개로 만들어 졌는데 정지할 때와
전진할 때의 차이라고는 하지만 이처럼 다르게 만들어진
깊은 뜻을 알 길이 없다고 합니다
태종 무열왕릉

태종은 무열왕의 묘호라고 합니다 신라에서 묘호를 갖는 단 한 분의 왕임을 보드라도
무열왕의 공적이 얼마나 위대했는가를 짐작할 수 있습니다 원형봉토분으로
내부구조는 횡혈식 석실고분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자연석으로 된 호석

왕릉은 높이가 약 13m 둘레가 약 112m 이고 봉분의 아랫 부분에는 봉분의 무너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자연석으로 된 호석을 둘렀습니다 통일신라시대의 다른 능에는
잘 다듬은 돌로 호석을 돌리고 십이지신상과 석난간 까지 배치하고 있는
것에 비하면 소박한 봉분이라는 생각이 됩니다
혼유석과 상석에 대하여

혼유석은 혼이 나와서 노니는 곳이고 상석은 제를 올릴 때 제물을 올려놓는 상의 역할을 하는
돌이므로 혼유석과 상석을 비슷한 형태로 만들어 혼유석을 상석으로 착각하기도 합니다만
봉분 앞에 혼유석 다음으로 상석(床石)을 놓으며 둘 다 직사각형의 단입니다.
무열왕릉 뒷편 4기의능

무열왕릉의 뒷편에는 능 4기가 일직선으로 나란히 내려오고 있는데 누구의 능인가는
밝혀지지 않았고 무열왕과 같은 영내에 있고 또 더 높은 곳에 위치하고
있는 점으로 보아 무열왕의 윗대가 아닐까 추측해 봅니다
건무문(建武門)

태종 무열왕의 능으로 들어가는 삼문의 이름입니다만 신라가 삼국 통일의 초석을 마련한
김춘추의 화랑정신을 바르게 세우는 성스러운 문이란 의미로 생각해도 될 것 같습니다
오늘도 함께 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고맙습니다
해상왕 장보고 기념사업회[현재창]www.changpogo.or.kr
신라 헌강왕 때의 처용설화에서 비롯된 가면무.
설명
신라 헌강왕 때의 처용설화에서 비롯된 가면무. 현재 전하는 궁중정재(宮中呈才;대궐 잔치에서 하는 춤과 노래) 가운데 그 역사가 가장 오랜된 춤으로, 궁중 나례(儺禮)나 중요 연례(宴禮)에 처용탈을 쓰고 추었던 춤이다. 처음에는 검은 도포(道袍)에 사모(紗帽)를 쓰고 1명이 추었으나, 조선 세종 때 확대되었다. 배경음악의 악곡과 가사도 고려·조선을 거치며 부연, 확대되었으며 성종 때 완전한 무용으로 성립되어 학무(鶴舞)·연화대무(蓮花臺舞)와 합쳐져 하나의 커다란 창무극으로 재구성되었다. 이렇게 대규모로 발전·완성된 처용무는 조선 말까지 계승되었으나 국권피탈 이후 전승의 맥이 단절될 위기에 있다가 1926년 무렵 이왕직아악부(李王職雅樂部)에서 맥을 이어 오늘날 처용무 원형 보존에 기여하였다. 이것이 광복 후 국립국악원에 의해 계승되다가 1971년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국가적인 차원에서 보존, 육성되고 있다. 오늘날 행해지는 춤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처음에는 처용탈을 쓴 처용 5명이 두 팔을 허리에 붙이고 각각 청·홍·황·흑·백색의 옷을 입고 순서대로 등장하여 상대(相對)와 상배(相背) 또는 4방·5방형으로 춤을 구성, 원형일렬무(圓形一列舞)·작대무(作隊舞)·무릎디피무·회무(回舞)·낙화유수무(落花流水舞) 등의 춤사위를 형성한다. 처용무의 배경음악은 발생 때부터 있었던 것으로 여러 기록에 나타나지만 당시의 악곡에 대한 기록은 없다. 단지 조선 세종 때 윤회(尹淮)가 처용가 곡절(曲節)에 따라 개작하였다는 <봉황음(鳳凰吟)>의 악보가 ≪세종실록≫ 권146에 전할 뿐이다. 현재 행해지는 처용무에서는 초입부에 가곡 가운데 언락(言樂)을 부르고 후반부에는 편락(編樂)을 부르는데, 가사는 ≪악학궤범≫에 들어 있는 것에서 발췌한 것이고 악곡은 이왕직아악부의 하규일(河圭一)이 선택, 편곡한 것을 쓰고 있다. 의상은 5방위의 색을 쓰며 소매에는 만화(蔓花)를 그리고, 흰비단의 한삼(汗衫)을 끼고 흰가죽신을 신는다. 적면유광(赤面油光)으로 채색된 처용탈은 유덕(有德)하며 미소짓는 모습으로 만든다. 사모에는 모란꽃을, 두 귀에는 주석고리와 복숭아열매·가지를 단다. 처용무의 특징은 춤동작이 위세당당하고 호탕한 기풍이 있으며, 1000여 년이란 오랜 세월동안 비교적 정확한 연원과 전승경로를 갖추고 전해진 춤이면서 풍부한 예술성을 갖추고 있다는 점에 있다. 중요무형문화재 제39호
-
왕명 : 거서간(居西干 : 居世干), 차차웅(次次雄) ,이사금(尼師今) ,마립간(麻立干), 왕(王), 성(性) : 박(朴),석(昔),김(金) -56대 992년(B.C.57∼A.D.935)] 1대 혁거세(赫居世) (B.C.57) : 박, 거서간(居西干 혹은 거세간),2대 남해(南解, A.D.5) : 박, 차차...
blog.naver.com/najhb/110035212714 블로그명:
삶의 여유
32,128위
어제 평양성 그림을 보면서 고구려의 옛모습을 조금 엿볼 수 있었다....
이번에는 또 다른 평양성 그림에서 볼 수 있는 처용무를 통해 신라의 흔적을 소개한다....
전(傳) 김홍도(1745 ~ 1806 이후) <부벽루 연회도> 종이에 채색 71.2 x 196.6cm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큰 이미지를 볼 수 있습니다.)
이 그림은 얼마 전에 포스트했던 '평양감사 할 만했네'에서 소개했던 <평양감사 향연도> 3점 중의 한 점인 <부벽루 연회도>이다. 부벽루를 어제 소개한 <퍙양도>에서 찾으면, 9폭에 있다.
<평양성> 9폭 부분도. 오른쪽 위의 탑 앞이 부벽루이다.
참살이 [현재창]
전국 해바라기 사진 공모전(1인 10점 이내) ... 해바라기 연날리기 체험, 전통악기 체험, 김홍도 풍속그림 인형 만들기, 한지공예, 페이스페인팅, 해바라기 티셔츠 만들기 등 ...
www.hihiwellbeing.com/sub/festival_view.php?no=765&menu_no=2&type=4 (35k) 이 사이트에서 더보기 | 저장된 페이지
- 제 2회 홍성전국사진 공모전 심사결... [현재창]
- 제2회 홍성전국사진 공모전. 심 사 일. 2009년 05월 24일. 심사위원 ... 김흥술 / 해바라기 정원 / 경북. 박공덕 / 수계식 / 전남. 박교현 / 내거야 / 서울 ...
- apcnews.kr/14194 (51k) 이 사이트에서 더보기 | 저장된 페이지
- 씽굿공모전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현재창]
- 전국 스토리텔링 대회. 2009 서울비전사진공모전 시.. '제2회 원할머니 Family 知. ... 제1회 태백 해바라기 사진대회 ... 대회 기간 내 태백 해바라기 축제장 및 태백일대의 명소를 방문하여 촬영한 사진을 공모합니다. ...
- thinkcontest.com/contents/conspiracy.html?keyfield=&...&strMode=view (95k) 이 사이트에서 더보기 | 저장된 페이지
사진정보 > 사진 공모전 요강 > 2009 단원미술대전 공모 요강 [현재창]
2009 고양시 사진 영상 공모전 개최 (1) 3321. 2009년 10월 20일 - 소인유효 ... 제2회 안산관광전국사진공모전. 2606. 2009년 09월 30일 - 소인유효. 있음 ...
www.pask.net/b_pask/bbs/board.php?bo_table=contest&wr_id=1501&page=3 (92k) 이 사이트에서 더보기 | 저장된 페이지
9호선 따라 가볼만한 곳 ①
[한국경제신문] 2009년 08월 14일(금) 오전 09:29 가
가
| 이메일| 프린트

카메라 둘러메고 갈 만한 곳, 9호선에 다 모여 있다!
영화의 주인공이 되고 싶다면, 화보처럼 사진을 찍고 싶다면 9호선을 타자. 아름다운 9호선 명소에선 셔터만 누르면 명작이 탄생한다.
▽ 구반포역 '반포한강공원'
2번 출구(반포한강공원)에서 도보로 10분
반포한강공원은 반포한강공원이 조성되기 전부터 서울시민들이 자주 찾는 인기 지역이다. 바로 1980년대에 한강종합개발을 통해 조성된 인공섬인 서래섬 때문. 봄에는 유채꽃이 만발하고 여름에는 해바라기, 가을에는 메밀, 겨울에는 청 보리가 섬을 가득 메운다. 이곳에서 봄에 찍은 사진은 제주도를 연상시킨다. 8월 중순경엔 해바라기가 만발한다고 하니, 누구나 영화 ‘
지금 만나러 갑니다’의 주인공이 될 수 있다.
최근 드라마에도 자주 등장하는 세계에서 가장 긴 교량분수, 달빛무지개 분수도 반포한강공원에서 만날 수 있다. 일곱 빛깔 무지개를 닮은 달빛무지개분수는 야경을 찍기에 그만이다. 또 동작대교방향으로는 한강의 해넘이를 가장 잘 볼 수 있는 곳으로 꼽히는 곳이니 일몰까지 카메라에 가득 담아보자.
▽ 노들역 '노들섬' 3번출구(
본동초등학교)에서 한강대교 방향 도보로 15분
노들섬은 한강이 품고 있는 여러 섬 가운데 하나로 대한민국 1번 국도인 한강대교 남단에 위치한다. 오랜 기간 자연상태로 유지되어 있었기 때문에 노들섬의 존재를 모르는 이도 있을 터. 사람들의 손길을 닿지 않은 노들섬은 흡사 고장난 시계같다. 예술섬 프로젝트가 본격화 되면 지금의 노들섬 모습은 이제 영영 볼 수 없게 된다. 다시 볼 수 없을 시간이 멈춘 서울의 생경한 모습, 사진으로 영원히 기억할 만하다.
2013년엔 노들섬이 한강예술섬으로 거듭난다. 노들섬에 대규모 복합문화공간인
오페라하우스를 비롯한 문화공간이 만들어질 계획. 또한 노들섬을 가기위해 지나는 한강대교는 사람이 건널 수 있는 다리로 확장 공사가 진행 중이다. 생각해보면 걸어서 한강다리를 건넌다는 생각은 별로 해본 적이 없을 테지만, 한강다리를 걷다보면 무더위속에서 슬금 슬금 다가서는 가을도 기분좋게 느낄 수 있다.
노들섬을 찾을 때에는 바닥도 거칠고 계단도 매우 많은 편이기 때문에 편안한 복장에 간단한 간식거리를 챙겨가는 것이 좋다. 편의시설이나 안전시설이 부족하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며 오후 늦게는 피하는 것이 좋다. (자료제공:
서울특별시청)
한경닷컴 bnt뉴스 김희정 기자 life@bn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