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선진당 심대평 전 대표는 “청와대가 나에게 개인적으로 총리직을 제의한 것이 아니라 선진당 측에 제안했다. 이에 대해 이회창 총재가 무리한 조건을 다는 바람에 결국 이 제안이 무산됐다”고 말했다고 동아일보가 1일 보도했다. 선진당이 “청와대가 우리 당에 양해를 구하지도 않고 심 전 대표를 총리로 데려가려 했다”며 ‘정치공작’이라고 비판한 데 대한 반박이었다.
전날 탈당을 전격 선언한 뒤 지역구인 충남 공주로 내려간 심 전 대표는 이날 동아일보와의 통화에서 “비서진도 없이 혼자 산을 다니며 생각 중”이라며 “선진당 의원들이 나를 찾아와도 만날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심 전 대표는 ‘선진당은 청와대가 공당의 대표를 총리로 기용하려고 하면서 절차를 제대로 밟지 않았다고 주장하고 있다’는 질문에 “책임을 다른 데로 떠넘겨서는 안 된다. (총리) 제안을 받은 것도 내가 아니고 조건을 내건 것도 내가 아니다”며 “(이 총재가) 처음부터 (나를) 총리로 못 보낸다고 한 게 아니다. ‘이런 조건이라면 보내겠다’고 해놓고 조건이 안 맞아서 (청와대가) 안 된다고 하니까 ‘공작정치’라는 건 무슨 얘기냐. 나는 처음부터 ‘충청권 총리’라는 얘기 나오면 (총리로) 안 가겠다고 그랬다. 나는 대한민국 총리가 되고 싶었다”고 말했다.
심 전 대표는 선진당이 내걸었다는 조건에 대한 질문에 “세종특별시법과 강소국연방제 방안이었다”며 “강소국연방제는 당내에서도 공감대가 거의 없다. (청와대에) 이를 받아들이라는 것은 무리한 요구였다”고 말했다고 동아일보는 전했다.
그는“(총리직을 매개로) 연대나 연합 공조를 요구하는 것은 정치적 이해타산에 의한 당리당략이다. 심대평이 흥정의 대상이냐”고 말했다.
심 전 대표는 자신이 “선진당이 ‘1인 정당’이 됐다”고 비판한 것에 대해 “김대중 전 대통령의 서거 당시 장례 절차가 국장으로 결정되자 당 대표로서 당내 회의에서 ‘이 결정은 유족들의 뜻을 수용하고 국민들의 애도 분위기를 반영한 적절한 조치’라고 평가했다. 그러자마자 (이 총재가) 당 대변인을 통해서 즉각적으로 반박한 적도 있다”며 “이런 식의 당 운영에 대해서 당에 남아선 개혁을 주도할 수 없어서 가슴 아프다. 서서히 우리 당의 변화를 이끌어갈 수 없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계기가 있어서 결심했지만 (탈당은) 오랫동안 생각해 둔 것”이라고 말했다고 이 신문은 전했다.
그는 “내가 잘 참는 사람인데, 끝까지 못 참는 것이 자존심과 인격을 짓밟는 것이다. 그게 내 스타일”이라고 말했다.
심 전 대표는 여권과의 연대 가능성에 대해 “그런 생각은 아직 안 하고 있다”고 말했다.
[조선닷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