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인으로서 정계 복귀를 위한 자연스런 결정이라는 당위성부터 이명박 정부를 탄생시킴으로써 민주주의를 후퇴시킨 1차적 책임이 있는 장본인치곤 너무 안일한 길을 선택한다는 비판이 격돌하고 있다.
외견상으로 찬반여론이 동등하게 격돌하는 것처럼 비춰지지만 밑바닥 정서는 회의적인 시각이 우세하다.
최근 한 지역 일간지 여론조사 결과 정 전 장관의 출마에 찬성한 응답자가 50%라는 수치를 놓고도 비판적인 유권자들은 “50%는 사실상 출마를 반대하는 것과 다름 없다”며 정 전 장관의 출마에 문제를 삼고 있을 정도다.
무엇보다 서울 동작을에서 진행 중인 재판을 뒤엎을 명분이 없다는 것이다.
정 전 장관은 현재 동작을 지역위원장이다.
그러나 지난해 총선 당시 정 전 장관과 경쟁했던 정몽준 한나라당 의원에 대한 ‘재정신청’이 받아들여져 재선거 여지를 남겨놓고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정몽준 의원이 국회의원 자격을 상실하면 동작을도 재선거가 실시될 수 있다는 점에서 동작을 유권자들을 납득시킬만한 명분이 없다.
재선거가 예상되는 지역구를 버리고 출마만 하면 당선이 보장되는 전주를 선택하는 것은 책임있는 정치인이 아니라는 시각이 비등하다.
여기에 의리 문제도 대두된다.
채수찬 전 의원을 정계에 입문시킨 장본인으로서 정치적인 멘토로서 역할을 저버린 채 후배의 지역구를 뺏는다는 부정적인 시각도 배제하기 어렵다.
채 전 의원의 경우 성실한 의정활동과 경제전문가로서 식견을 인정받았기에 정 전 장관의 출마는 후배의 지역구를 밀고 들어온다는 옹색한 처지도 더해지고 있다.
도민들은 정 전 장관의 정치 활동 재개나 재출마를 반대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17대 대선과 18대 총선에서 연이어 패배하면서 역주행 정부를 탄생시킨 장본인으로서 책임지는 정치인의 자세를 버리고 쉬운 길을 간다는 점에서 유권자들에 대한 예의가 아니라는 것이다.
이런 가운데 공천 폐해의 직접 피해자인 채수찬 전 의원은 3일 공천자격심사위에 신청을 함으로써 출마 의지를 내비쳤다.
그는 의리와 현실 사이에서 장고 중이지만 덕진구민과 개인의 명예회복, 그리고 경제 전문가로서 식견을 펼치기 위한 출마해야 한다는 지지여론에 힘입어 출마쪽으로 가닥을 잡고 있다.
도내 국회의원 A씨는 “정 전 장관을 공천해야 한다는 추대론을 접하곤 황당했다. 서민경제와 남북관계가 망가지고 ‘강부자’를 위한 정책을 강행하는 현 정부의 폐해를 감안하면 당선이 보장되는 전주 출마는 무책임하다”고 강조했다.
공무원 B씨도 “큰 정치인으로서 역할을 해야지 실패한 골목대장으로 전락하는 길을 택할 경우 도민들의 자존심에 상처를 안긴다”며 덕진 출마에 부정적인 견해를 피력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제휴사 / 새전북신문 김종필 임병식 기자 montlim@sjbnews.com